1. 서 론
1.1 해양치유와 해양치유정책
‘해양치유’란 해수, 해조류, 모래, 머드, 소금, 해양기후, 해 양환경 등과 같은 해양의 자원을 활용하여 체질 개선, 면역 력 향상, 항노화 등 국민의 건강을 증진시키기 위한 활동을 말한다(해양치유자원법 제 2조 정의). 해양수산부는 ‘해양치 유자원의 관리 및 활용에 관한 법률(약칭 해양치유자원법)’ 을 제정하였고 2021년 12월 해양치유 기본계획을 수립하여 해양치유정책을 추진 중이다(MOF, 2021).
해양수산부가 발표한 ‘2021 해양관광 이용객 실태조사’ 결 과에 의하면 국내 해양관광의 체험 활동 유형으로 ‘바닷가 방 문을 통한 심신치유 활동’(59.2%)이 ‘해수욕장 방문’(51.3%), ‘섬관광’(18.5%)보다 높게 나타나, 해양치유 수요가 증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MOF, 2022).
한편 ‘해양치유센터’란 해양자원을 활용하여 건강증진에 도 움이 되는 해양치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문 시설과 공간을 말하며 인근의 해양환경을 포함한다(Yoon, 2017;Lee et al., 2020a). 해양수산부는 해양치유 활성화 거점 지역으로 전남 완도, 충남 태안, 경북 울진, 경남 고성, 제주 등 5개 지역을 협력 지자체로 선정하여 해양치유센터를 건립 중에 있으며, 이 가운데 완도해양치유센터가 2023년 11월 개관하여, 국내 최초로 해양치유 서비스를 제공 중이다(MOF, 2023a).
해양치유산업의 육성을 통해 연안 지역의 일자리 창출 및 경제 활성화를 도모하기 위해 해양치유자원 활용 기술 개 발, 해양치유센터 최적 운영 모델 개발을 내용으로 하는 ‘스 마트 헬스케어 기술 개발 및 확산 연구’가 진행 중이다 (KFPI, 2021~2025).
1.2 연구의 필요성
‘해양치유’는 해양수산부가 정책적 의지를 가지고 추진하 는 사업으로, 국내에는 해양치유와 관련된 유사 사례가 없 는 실정이며 서양의 ‘해양치유’ 유사 사례로 탈라소테라피 (Thalassotherapy, 해양요법)를 소개할 수 있다. 탈라소테라피 는 그리스어로 탈라소(THALASSA, 바다)와 치유(THERAPIE) 의 합성어로 해수를 중심으로 하여 해조류, 모래, 소금, 머드 등 바다의 자원을 가지고 실시하는 치유를 말한다. 탈라소 테라피는 입욕, 샤워, 흡입, 피부 도포, 찜질, 운동 등과 같은 요법으로 실시되며, 면역 강화, 호흡기, 피부계, 근골격계 건 강증진 등 다양한 치유 목적으로 행해지고 있다(Lee et al., 2020b). 국내 현황은 뷰티스파분야에서 서양의 탈라소테라피 요법들이 그대로 소개되어 실시되고 있는 것이 전부이다.
따라서 한국의 환경과 수요에 맞는 ‘해양치유 서비스’모 형을 제시할 필요성이 있다.
리빙랩이란 ‘살아 있는 실험실, 일상생활 실험실’이라는 의미로 전문가 중심 실증연구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도입 되고 있는 연구방법(Kviselius, 2009)으로 사용자 주도의 개방 형 혁신 연구모델로 소개되었다. 리빙랩에서는 사용자가 연 구의 활동 주체로 참여하여, 공급자, 연구자 등 다양한 이해 관계자들과 상호작용하며 결론을 도출하는 연구로 사용자 의 경험과 통찰력이 중요한 주거, 교통, 교육, 건강 등 생활 분야에서 사회적, 경제적 문제를 해결하고 대안을 도출하기 위한 연구에 채택되고 있다(Sung et al., 2018). 또한 사용자와 공급자, 연구자가 함께 하는 공동 창조형 연구개발시스템으 로 상용화 기술 개발에 적합한 실증연구에 추천된다.
국내 리빙랩 선행연구로는 Park et al.(2021)의 자립생활 프 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연구, Lee et al.(2021)의 연구창의적 체 험활동을 위한 리빙랩 기반의 수업자료 개발 연구, Park et al.(2019)의 발달장애인 아버지 양육 참여를 위한 ICT개발 연 구, Sung et al.(2016)의 지역문제 해결을 위한 국내 리빙랩 사 례 분석 연구가 있으나 리빙랩 연구 방식을 적용한 비즈니 스 모델 개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며 특히 해양치유 분 야에서의 리빙랩 연구는 전무하여, 본 연구에서 처음으로 시도되었다.
따라서 해양치유와 관련된 국내 연구의 부족으로 기존 자 료활용에 한계가 있어,‘해양치유’ 연구의 기본 방향을 제시 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해양치유 프로그램과 운영 모델 개발을 위해 치유 선진국 유사 사례 문헌 고찰 및 기술수요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리빙 랩 운영을 통해 실증 연구를 수행하였다. 2021년부터 2024년 까지 충남 태안(서해안), 전남 완도(남해안), 경북 울진(동해 안) 해양치유 협력지자체에서 해양치유 리빙랩을 운영하였다.
1.3 연구의 목적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치유 환경과 여건에 맞는 해양치유 프로그램과 프로그램 운영모델을 개발하는 것이다. 사용자 맞춤형 프로그램과 운영 모델 개발을 위해 리빙랩 연구 방 식을 채택하였으며, 리빙랩 운영 연구의 목적은 해양치유 프로그램 시범운영을 통해 치유 효과를 확인하고 해양치유 프로그램 참가자들의 수요도와 만족도를 조사하는 것이다.
2. 연구 방법
2.1 리빙랩 운영
해양치유 운영 모델 개발을 위해 리빙랩 연구 방식을 채택 하였다. 리빙랩 연구는 일반적으로 개념화 및 구체화, 적용 및 피드백 그리고 평가의 단계로 이루어진다(MS & ICT, 2020).
해양치유 관련 기술수요탐색을 위해 서양의 탈라소테라 피 관련 문헌과 탈라소테라피센터 프로그램 및 운영 현황을 조사 분석하였고, 해양치유 수요조사 결과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반영하여 프로토타입의 해양치유 프로그램 을 개발하였고, 해양치유 사용자인 국민들을 대상으로 해양 치유 프로그램 시범운영 형태의 리빙랩을 운영하였다.
해양치유 리빙랩 연구 내용은 해당 지역의 대표 해양치유 자원을 활용하여 해양치유요법과 전문 해양치유 프로그램, 지역 특성화 해양치유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이다. 해양치 유 프로그램은 단일 프로그램을 체험형으로 실시하거나, 지 역 특성화 프로그램의 경우는 숙박형 해양치유 프로그램 제 공하였다.
해양치유 리빙랩 운영 참가자는 충남, 전남, 경북 지역 주 민 참여자와 타지역 동반인, 해양치유 이해관계자(공무원), 해양치유 연구자가 참여하였다. 지역 주민 참여자를 해양치 유 수요자 즉 사용자로 분류하며, 해양치유 리빙랩에 자발 적으로 참여한 체험자들이다. 이들 중에는 해당 지자체 소 속 주민자치단체 임원들과 지역에서 활동 중인 치유 전문가 들이 포함되어 있었다. 사용자들과 리빙랩 공급자로 함께 참여한 해양치유 이해관계자(공무원)들은 연구자들과 함께 리빙랩 운영을 위한 프로그램 선정, 적정 장소 섭외, 대상자 모집, 홍보 등 역할을 수행하였다.
리빙랩 참가자들은 상시 논의 체제를 구축하여 주요 운영 사항을 의논하였고 다양하고 발전적인 피드백들은 다음 차 수 운영에 적용하였다. 특히 사용자들은 해양치유사업을 추 진함으로써 지역 내 관광객 유치와 경제 활성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을 기대하여 리빙랩 운영 전반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였으며, 리빙랩 운영 이후에도 높아진 해양치유 이해 도를 바탕으로 자신이 속한 지자체 해양치유 정책에 지속적 으로 참여하면서 해양치유 사업 활성화에 기여하였다. 리빙 랩 운영에 참여한 사용자, 공급자인 해양치유 관계자, 연구 자의 역할은 Fig. 1과 같다.
리빙랩 운영 결과를 바탕으로 해양치유 프로그램과 운영 모델을 고도화하였으며, 해양치유 프로그램 효과성 평가와 참가자 만족도 및 수요도 조사를 통해 평가하였다. 전문가 그룹인터뷰를 거쳐 해양치유 프로그램과 운영모델을 완성 하였다.
해양치유 리빙랩의 운영 매커니즘은 Fig. 2와 같다.
2.2 리빙랩 참여자 모집
해양치유 리빙랩 운영에는 사용자로서 해양치유 프로그 램 체험에 참가한 건강인 지역(충남, 전남, 경북) 주민과 타 지역 동반인, 공급자로서 해양치유 이해관계자(공무원), 해 양치유 연구자가 참여하였다.
체험 대상자는 지역민을 우선 선발하였으며 지역민과 함 께 동반 신청한 타지역민도 선발하였다. 참가자들은 대부분 건강인이었으나, 2024년 완도 리빙랩은 무릎관절염과 아토 피피부염 질환자를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건강인 선발 기준은 연구의 목적과 정보 활용 및 참여에 동의한 자로‘만 13세 이상 75세 이하 건강에 이상이 없는 자 이다. 타인의 도움 없이 실내·외 신체 활동이 가능한 사람’ 으로 신경계 및 기타 시스템에 중증도 이상 질환이 있는 자 는 제한하였다. 질환인은 무릎관절염환자와 아토피피부염환 자를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질환별 참가자 선발 요 건과 제외 기준은 임상 연구 기준을 적용하였다.
2.3 리빙랩 평가
2.3.1 해양치유 프로그램 효과성 평가
해양치유 프로그램의 효과성 평가를 위해 프로그램 체험 전과 후 프로그램 참가자들의 건강 상태 변화를 평가하였으 며, 구체적인 평가 방법은 다음과 같다.
건강인 평가도구로 정신적 변화 측정 중 스트레스지수는 Daily Stress Inventory(DSI), Stress Response Inventory(SRI), 우울 지수는 Beck Depress Index(BDI), 기분상태는 Korean Edition of Profile of Mood States(K-POMS), 삶의 질은 Korean version of World Health Organization Quality of Life Scale(K-WHOQoL)를 채택하였다. 자기보고식 평가 도구(설문지 형태)들이다. 신 체적 변화 측정은 뇌파 변화 Electroencephalogram(EEG), 체성 분 측정 Bioelectric Impedance Analysis(BIA. Inbody), 자율신경 균형검사 및 스트레스 측정Heart Rate Variability(HRV)를 실시 하였다. 근골격계 평가로 운동기능평가, 보행분석 10m Walk Test(10mWT), 균형검사 Timed Up and Go(TUG), Single leg stance(SLS)를 실시하였고, 피부상태 평가, 혈액 분석 등 생리 지표도 사용하였다.
건강인의 경우, 측정 대상자 25명 기준, 평가 도구 5개 내 외측정에 소요되는 평균 시간이 90분에서 120분정도이다. 측 정 대기시간이 길다는 참가자들의 부정적인 피드백을 반영 하여 측정 시간을 최소화하기 위해 2022년 리빙랩부터 정신 건강 평가 설문지를 우울과, 스트레스, 피로, 불안 등을 한번 에 측정할 수 있는 평가도구인 한국판기분상태지수(K-POMS) 로 변경하였다.
한편 2023년 리빙랩과 2024년 리빙랩은 완공된 완도해양 치유센터 측정실에서 보유하고 있는 장비를 사용하여 측정 하였으며, 측정 장비는 체성분측정기, 자율신경균형검사기 기, 안면인식피부측정기, 체형분석기이다. 2024년 리빙랩은 무릎관절염과 아토피피부염 환자를 대상으로 실시하여 질 환별 특화된 측정 도구를 추가하여 평가하였다.
구체적인 리빙랩별 평가 도구는 Table 1과 같다.
2.3.2 해양치유 프로그램 운영 평가
해양치유 프로그램 시범운영 참가자들을 대상으로 프로 그램과 운영 만족도 및 해양치유 선호도, 재방문의사, 지불 의사 등 이용 형태를 조사하였다.
이 외에도 전문가그룹심층인터뷰(FGI, Focus Group Interview) 를 실시하였다.
2.4 자료분석
프로그램 참가 전과 후 대상자들의 건강상태를 측정하였 으며, 측정 결과는 SPSS(SPSS Inc., Chicago, IL, USA)를 사용 하여 분석되었다. 대상자 기본정보는 기술통계를 활용하여 평균과 표준편차, 비율로 나타내었고 신체 및 정신 건강평 가는 대상자들의 분포에 따라 모수 검정으로 그룹별 사전측 정과 사후측정에 대한 검증을 위해 대응표본 t검정(paired-t test), 그리고 그룹간 사전측정과 사후측정의 비교 검증을 위 해 독립표본 t검정(independent-t test)을 실시하였다. 모든 분 석에서 통계적 유의수준은 p<0.05로 설정하였다.
3. 연구 결과
3.1 해양치유자원 활용 문헌 분석
문헌 분석 자료는 해양치유 활용화 연구(Lee et al., 2020c; 이하 해양치유 1차 R & D)의 선행 연구 문헌 분석 결과를 반영하였으며, 문헌분석은 ‘Pubmed’, ‘Google Scholar’에서 ‘탈 라소테라피’, ‘해수’, ‘해조류’, ‘해양기후’, ‘해양환경’, ‘해양 기후, ’해양에어로졸‘, ’머드‘, ’소금‘을 검색어로 1995년부터 2019년까지 발표된 논문을 조사하였다.
자원별 문헌수는 머드관련 논문은 총 434편, 해사 77편, 해수 445편, 해염 78편, 해조류 93편, 해양기후 1,750편, 해양 환경 656편으로 기초연구 420편은 제외하고 대부분 2개 이 상 자원을 복합적으로 중재에 사용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문헌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프로그램과 운영 모델 개발에 기초자료로 해양치유자원 활용요법, 치유 효능, 효과 평가를 위한 평가 도구를 도출하였다.
2021년에는 리빙랩 연구 방식을 채택하면서 ‘리빙랩’과 ‘해양치유’를 키워드로 한국교육학술정보원(RISS), 한국학술 정보(KISS)에서 재검색하였다. 특히 해양치유 프로그램 효과 성 평가 방법 설계를 위해 2018년부터 2020년까지 수행하였 던 해양치유 임상연구 18건의 연구 방법을 재분석하였으며 치유 목적별 평가 방법을 선별하였다. 국내에서 발표된 ‘리 빙랩’관련 연구 25편 ‘해양치유’관련 연구 28편이 추가로 조 사되었고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리빙랩 운영 연구를 설계하 였고 효과 평가 도구를 보완하였다.
3.1.1 해양치유자원별 활용 요법 분석
해양치유자원별 활용 요법을 살펴 보면 Table 2과 같이 조 사되었다. 해수는 입욕, 샤워, 음용, 흡입, 운동으로 활용되 고, 해조류는 입욕, 섭취, 팩(랩핑)형태로 피부에 도포한다. 해양 머드와 소금은 피부 도포나 입욕에 활용되었고, 모래 는 운동을 하거나, 찜질을 실시한다. 이 외 해양의 기후 자 원인 태양광과 에어로졸, 그리고 해양경관은 해풍욕, 일광 욕, 걷기, 운동, 요가, 명상, 기공체조, 노르딕워킹 등 주로 야 외 활동 시 활용되었다.
3.1.2 해양치유자원별 치유 효능 분석
해양치유자원별 치유 효능을 분석한 결과 Table 3와 같은 치유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해수치유는 근골 격계 치유에 가장 효과적이었으며, 이어 피부계, 대사촉진, 호흡기계 치유에 도움이 되었고, 해조류치유는 면역증진, 대 사촉진, 피부계 건강증진에 효과를 나타냈다. 모래치유와 해 양머드치유는 근골격계 치유에 가장 많은 효과를 나타냈고, 면역증진, 피부계 치유에도 머드가 효과적이었다. 소금치유 는 호흡기계, 피부계, 근골격계 치유, 대사촉진 순으로 도움 이 된 것으로 나타났다. 해양기후치유와 해양경관치유는 면 역증진에 가장 많이 활용된 것으로 나타나 바닷가에서의 옥 외 활동이 면역력을 높이는데 매우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이외에도 해양기후치유는 피부계 건강증진에도 도움이 되 었으며, 소수 연구로 해수입욕 활동이 수면 장애 개선에 도 움을 주었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Lee et al., 2020c).
문헌 분석 결과에 의하면 해양치유자원을 활용한 치유 활 동으로 면역강화, 피부계, 근골격계, 호흡기계 건강증진 및 대사촉진에도 도움을 주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대부분의 임 상 연구 결과가 해양치유 활동의 신체 건강증진 효과를 규 명하고 있다는 사실을 바탕으로 해양치유 활동을 통해 다양 한 신체 건강증진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스 트레스 완화, 우울감 또는 불안 완화와 같은 정신건강증진 효과에 대해서는 위에 소개한 치유 효과와 함께 동반되는 효과로 조사되었다.
3.2 해양치유 선진국 해양치유센터 프로그램 분석
유럽의 해양치유센터 프로그램은 2011년부터 2018년까지 탈라소테라피 선진국인 독일, 프랑스, 스페인 3국의 탈라소 테라피센터 현장 방문과 관계자 인터뷰 내용, 그리고 센터 홈페이지와 브로셔 소개 내용을 토대로 조사하였다.
프랑스의 탈라소테라피 대상 센터는 발디리조트 로스코 프(Valdys Resort Roscoff), 생말로탈라소테라피센터(Thermes Marins de Saint - Malo), 비아리츠탈라쥬르(Thalmar Biarritz), 독일의 조사 대상은 도브란해양치유센터(Heilbad Doberan), 괴렌해양치유센터(Seebad Goehren), 바르네뮨데해양치유센 터(Ostseebad Warenemuende), 리하크리닉우세돔(Rehaklinik Usedom), 넵튠호텔 해양치유센터(Seebad Neptun), 듄테르메 (Dünentherme), 그리고 스페인의 대상 센터는 샤웰니스크리닉 (Sha wellness Clinic), 오치아노헬스스파(Oceano Hotel Health spa)를 조사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대부분의 센터에서 치유 프로그램들은 최소 2박 3일부터 9박 10일까지 숙박형 체류 상품으로 운영되고 있어 메인 프 로그램인 탈라소테라피 뿐만 아니라 치유 장비를 활용하는 프로그램과 전문가들이 제공하는 치유 프로그램을 함께 제 공하고 있었으며, 이 외에도 웰니스 프로그램. 레저 프로그 램 지역 관광 프로그램도 융복합으로 제공하고 있었다.
프로그램의 종류는 탈라소테라피에서 제공하는 해양치유 자원별 효능과 요법, 적용 대상은 문헌 분석 결과와 일치하 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추가적으로 물리치료, 추나, 정골요 법, 허브요법, 광선요법, 심리상담치료과 같은 전문 치유 프 로그램과 마사지, 요가, 명상, 노르딕워킹, 피트니스 등 웰니 스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치유 프로그램의 치유 목적은 심신이완(Relax), 근골격계 치유(Musculo-skeletal care), 재활(Rehabilitation), 호흡기계치유 (Respiratory care), 체중관리(Weight Loss), 항노화(Anti-ageing), 스트레스 관리(Stress management) 등이며, 기타 프로그램으로 암케어(Oncology), 금연(Quit smoking), 수면관리(Sleep Well), 임산부관리(Maternity) 프로그램이 있다.
조사 대상 센터들은 쿠오르트(요양병원)이거나 헬스스파 로서 의료서비스와 접목한 해양치유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었으며, 대부분의 탈라소센터에서 치유 목적 프로그램을 제공하였다. 치유 프로그램은 최소 3일에서 10일간 머무는 숙박형 패키지 상품으로 운영하고 있어, 치유 프로그램과 숙박과 식사 서비스를 결합한 상품도 운영하였다. 이 외에 도 체류 고객의 편의 제공과 여가 활동 지원을 위해 낚시나 스킨스쿠버, 패들보드, 트레킹과 같은 레저 프로그램 제공, 자전거 대여, 지역 특산물 및 상점 연계, 이·미용 서비스를 제공하는 곳도 있다.
유럽탈라소테라피센터 프로그램 및 서비스 분석 결과는 Table 4와 같다.
3.3 해양치유 수요 조사
해양치유 수요조사는 2018년과 2021년 2회 실시한 결과를 활용하였다. 수요조사 대상자는 층화임의추출에 근거하여 샘플링한 후, 일대일면접조사로 광역시도 기준 성인을 대상 으로 조사하였다. 2018년 전국민을 대상으로 수요조사가 실 시되었고, 2021년 수요조사는 국민그룹과 협력지자체 지역 민 그룹, 두 그룹으로 비교 조사 되었다. 세부조사항목은 인 구통계학적 특성, 해양치유에 대한 인식, 치유활동 경험 여 부, 해양치유 프로그램 선호도 등 주로 해양치유 프로그램 관련 내용이다.
3.3.1 1차 해양치유 수요 조사(2018)
2018년 해양치유 수요조사는 2018년 12월에 전국민 1,000 명을 대상으로 해양휴양 경험, 해양치유 및 프로그램 인지 도와 선호도를 조사하였으며, 본 연구에 활용하였다.
바닷가 방문 주기는 1년에 1회 이상(63.7%)이 가장 응답이 많았으며, 심신안정·휴식(38.7%)과 기분전환·일상탈출(38.4%) 을 목적으로 바닷가를 방문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해양치유센터의 필요성’ 설문 항목에 있어서 ‘필요하다’ 61.6%, ‘매우 필요하다’ 3.3% 였으며 ‘해양치유센터 방문 의 사’ 설문 항목에 대해서는 ‘있다’는 응답이 82.3%였다.
해양치유센터 인식 조사에서는‘해양치유센터 방문 이유’ 로 ‘휴양’ 81.0%, ‘질환치료’ 8.5%, ‘미용 등’ 4.5%로 나타났 다. 선호하는 해양치유 경험으로 ‘바다 경관이 주는 스트레 스 완화’가 25.9%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새로운 경험 이 될 것 같다’는 기대라는 응답자가 20.8%였다. 해양치유 활동 시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소로 쾌적한 공간과 시설이라 는 답변이 42.5%, 이용요금이라는 답변이 42.5%로 이어졌다. 기대되는 해양치유 자원으로는 해양경관이 30.2%, 해양기후 16.7%, 해조류 16.0%, 머드 14.0%, 해수 13.5% 순이었으며, 해 양치유 활동을 통해 기대되는 치유 효과는 면역증진(28.4%), 피부계 건강증진(21.9%), 스트레스완화(21.7%) 순으로 답변하 였다.
3.3.2 2차 해양치유 수요 조사(2021)
2차 해양치유 수요조사는 2021년에 실시되었다. 2021년 10 월 26일부터 11월 6일까지 일대일면접조사로 실시하였으며, 전국조사는 광역시도 기준 성인대상 1000명, 지역조사는 완 도군 및 완도군 인접 시군 기준 성인대상 500명 두그룹을 대 상으로 조사하였다. 본 조사는 해양치유 인지도, 선호도, 이 용의사 등을 조사하였으며, 조사 내용은 Table 6과 같다.
해양치유에 대해 알고 있느냐에 대한 답변으로 국민들의 11.1%, 주민들은 14.8%가 알고 있다고 답변하여 해양치유 홍 보 활동이 더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해양치유에 대한 기대감으로 국민들은 웰니스와 차별화 29.0%, 해양관광과 연계 24.9%, 건강증진 22.8%로 답변하였 고, 지역주민은 웰니스와 차별화 30.0%, 건강증진 25.0%, 해 양관광과 연계 23.0%로 답변하였다. 해양치유를 원하는 목 적으로 국민은 휴식 37.4%, 여행 20.4%, 건강증진 15.5%인 반 면, 지역주민은 휴식 36.6%, 건강증진 19.4%, 여행 19.4%로 조사되었다. 선호하는 프로그램으로는 국민들은 해수입욕 31.5%, 심신이완 29.8%, 피부도포 17.9%, 운동 9.4%, 지역주민 은 해수입욕 32.6%, 심신이완 31.0%, 피부도포 16.2%, 운동 8.4%로 순서가 같았다.
연간 방문 희망 횟수에 대하여 국민들은 연간 1-2회 방문 57.9%, 다음으로 방문 계획이 없다 18.9%인 반면, 주민들은 연간 1-2회 방문 54%, 연간 3-4회 방문 24%로 나타나 주민들 의 해양치유센터 이용 의사가 높았다. 이 외 가장 선호하는 체류일인 1박 2일 프로그램 이용 요금으로 조식, 숙박, 시설 이용, 측정 등을 포함한 적정 비용에 대하여 국민 평균은 137,753원, 주민 평균은 135,802원으로 편차가 거의 없었다.
해양치유센터가 지역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주민들에 게 질문한 결과 삶의 질 향상에 대한 기대 7.0%로 매우 낮게 나타났으며, 주민들을 위한 혜택 사항으로 센터 이용 요금 할인 56.2%, 건강 바우처 지급 36.2%, 우선 예약제도 7.4% 순 으로 경제적인 혜택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3.4 해양치유 프로그램 개발
해양치유자원의 치유 목적과 활용요법을 확인하였고, 마 린아트테라피, 마린힐링테라피 두 개의 전문 해양치유 프로 그램을 기획하였으며, 지역 특성화 해양치유 프로그램의 가 이드라인을 제시하였다.
자원별 해양치유 프로그램 부분은 서양에서 오래 전부터 행해져 온 해수 입욕, 해수마사지, 해조류 팩, 머드팩과 같은 탈라소테라피를 해양치유자원별 활용 요법으로 실시한다.
사전 분석 결과를 보면 해양치유요법들이 면역증진, 근골 격계, 피부계, 호흡기계 건강증진 및 대사촉진 등 신체 건강 증진효과에 집중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반면에 해양치유 수요조사 결과, 이용자들은 ‘휴양’, ‘스트레스 완화’‘심신 이 완’와 같은 심리적 치유를 기대하며, ‘해양기후’, ‘해양경관’ 자원을 선호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정신 건강증진 목적의 해양치유 프로그램과 바닷가에서의 치유 활동 프로 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정신 건강증진 해양치유 프로그램으로‘마린아트테라피’프 로그램을 개발하였으며, 사용되는 재료에 따라 ‘모래아트’, ‘해조류아트,’, ‘소금아트’, ‘머드아트’로 구분한다.
또한 바닷가 옥외 활동 프로그램으로 ‘마린힐링테라피’프 로그램을 개발하였고, ‘얕은바다걷기힐링’, ‘노을바다힐링’, ‘별빛파도힐링’으로 세부 프로그램을 구분한다. 개발한 해양 치유 프로그램을 전문 해양치유 프로그램으로 칭한다.
해양치유자원법 제1조에 의하면, 해양치유 사업을 추진하 는 목적이 해양치유자원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활용하는 것 이외에도 관련 산업을 촉진하여 국가 경제발전에 이바지 하는 것이며, 해양치유사업을 통해 상대적으로 낙후된 연안 지역의 경제 활성화에 기여하는 것이다. 따라서 지역이 보 유한 다양한 특화자원, 관광 상품과 기타 치유 인프라 등과 해양치유 프로그램을 연계하여 리빙랩 참가자들에게 소개 하고 체험 기회를 제공할 필요성이 있다.
유럽 탈라소테라피 센터에서도 체류형 고객들에게 탈라 소테라피 이 외에 건강한 여가를 지원하는 레저 활동과 생 활 습관 교정을 위한 건강 교육을 함께 제공하거나 지역의 상점, 식당, 카페 등을 이용할 수 있도록, 자전거를 대여하거 나 로컬샵을 설치하는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따라 서 숙박형 해양치유 프로그램 이용객을 위해서는 지역의 치 유 자원, 특산물, 관광 및 문화 등 다양한 인프라와 결합하 여 융복합 해양치유 프로그램을 지역 특성화 프로그램으로 패키지 형태로 제공하며 융복합 해양치유 프로그램 구성 내 용은 Fig. 3과 같다(MOF, 2023b).
리빙랩 운영을 위한 해양치유 프로그램 개발 과정은 Fig. 4와 같다.
3.5 해양치유 리빙랩 운영 및 성과
2021년부터 2024년까지 4년간 해양치유 비즈니스 모델 실 증사업으로 충남 태안(서해안), 전남 완도(남해안), 경북 울 진(동해안)에서 해양치유 리빙랩을 총 5회 운영하였다.
2021년 태안 리빙랩은 10월 9일부터 11월 14일까지 건강 인을 대상으로 1박 2일과 2박 3일 숙박형 패키지 프로그램 을 제공하였다. 총 358명이 참가하였으며, 1박 2일 116명, 2 박 3일 242명이 참가하였다. 2022년 완도 리빙랩은 8월 9일 부터 8월 13일까지 5일간 완도군 신지면 명사십리해수욕장 인근에서 건강인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마린아트테라피와 마린힐링테라피는 단일 프로그램으로 제공하였고, 해수운동 과 해송림운동은 온열수기테라피와 함께 3일간 연속 제공하 였다. 2023년 울진 리빙랩은 공무원과 주민이 참여하였으며, 울진 삼욕(三浴. 해풍욕, 온천욕, 산림욕)을 주제로 2일 패키 지 프로그램으로 운영하였다. 2023년 완도 리빙랩은 완도해 양치유센터 개관을 앞두고 수도권과 광주시민 그리고 완도 주민 50명의 건강인을 대상으로, 3일간 해양치유 프로그램 을 제공하였다. 2024년 완도 리빙랩은 무릎관절염환자와 아 토피피부염환자를 대상으로 실사하였다. 2023년 11월 국내 최초 해양치유센터인 완도해양치유센터 개관(MOF, 2023a)이 전에는 해양치유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공간이 마련되지 않 아 해양치유센터 후보지 인근 도보권 내 실내 공간 또는 해 변에서 실시하였다.
리빙랩 운영 결과 참가자들을 대상으로 해양치유 프로그 램 체험 전과 후 신체적 정신적 변화를 측정 비교하여 프로 그램의 효과성을 확인하였으며, 프로그램 체험 후 만족도와 수요도 조사를 통해 프로그램 운영 평가를 실시하였다.
3.5.1 해양치유 프로그램 효과 검증
건강인들이 참가한 해양치유 리빙랩 운영 평가에서 주관 적 변화 측정 결과, 공통된 해양치유 프로그램 효과는 스트 레스 및 우울감 완화, 기분 상태 개선 효과이다.
신체적 변화 측정 결과, 공통 치유 효과로 스트레스 완화, 우울감 완화, 통증 완화에 유의미한 개선 효과가 있었으며, 이 외에도 근력 향상, 체지방 감소, 수면의 질 개선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신체적 생리 변화 측정 결과는 2021 태안 리빙랩의 2박 3일 그룹과 2022년 완 도 리빙랩 운동 그룹, 2023 완도 리빙랩 그룹인 3일 이상 참 가자들에게서만 유의미하게 변화한 것으로 나타나, 신체적 정신적으로 치유 효과를 모두 경험하기 위해서는 3일 이상 해양치유 프로그램 적용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Choi et al., 2022).
2024년 완도 리빙랩의 경우는 완도해양치유센터에서 실 시되어, 해양치유 프로그램 제공을 위한 시설, 공간, 장비, 인력이 모두 확보된 상태에서 10일간 실시되었다. 완도해양 치유센터에서 제공하고 있는 기본 해양치유 프로그램의 근 골격계와 피부계 건강증진 효과 확인을 위해 무릎관절염환 자와 아토피피부염 환자를 대상으로 각각 실시하였다.
10일간의 해양치유 프로그램 적용 후 무릎관절염환자 그룹은 무릎 통증(VAS)지수가 유의미하게 감소하였고, 일 상생활 기능지수(ADL)와 삶의 질 지수(KOOS-12)가 유의미 하게 향상되었으며, 무릎관절염의 염증지수(TNF-α)도 감소 한 것으로 나타났다. 아토피피부염 환자 그룹은 리빙랩 참 가 전과 비교하여 참가 후 아토피 증증도 평가 지수(Local SCORAD, IGA)가 유의미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나 무릎관 절염과 아토피피부염의 상태 개선과 염증 완화 효과가 있음 을 확인하였다. 이 외에도 스트레스 저항도 증가, 신체적·정 신적 피로도가 유의미하게 감소하였으며, 체성분 측정 결과, 골격근량지수가 유의미하게 증가한 반면, 내장지방면적이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
완도해양치유센터 프로그램을 10일간 체험한 체험객들은 체험 후 신체 변화에 대하여, 걸음걸이나 움직임이 편해졌 다(73,1%), 잠을 잘잔다(65.4%), 건강해진 느낌이 든다(57.7%), 통증 부위가 덜 아프다(42.3%), 기분이 좋아졌다(42.3%), 붓기 나 살이 빠졌다(15.4%)고 답변하여, 참가자들의 전반적인 건 강 상태가 개선되었음을 알 수 있다.
3.5.2 해양치유 리빙랩 참가자 만족도 및 수요도 조사
① 참가자의 프로그램 선호도
태안리빙랩은 참여자들은 마린힐링테라피(노을바다힐링) 의 선호도가 가장 높았다. 이어 해변운동, 마린힐링테라피 (얕은바다걷기힐링), 마린아트테라피, 해변노르딕워킹, 솔모 랫길트레킹 순으로 나타났으며, 바닷가에서의 옥외 활동 해 양치유 프로그램들의 선호도가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완도해양치유센터에서 리빙랩 참여자들은 해수운동, 해수 명상풀, 해조류와 머드팩 순으로 선호한다고 답변하였으며, 향후 희망하는 프로그램으로 ‘전문 치유사와 함께하는 테라 피’를 가장 희망한다고 답변하였다.
울진 해양치유 리빙랩에서는 프로그램 선호도가 높은 경 향이 있는 마린힐링테라피 프로그램이 만족도, 운영, 효과 모든 면에서 낮은 평가를 받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바 닷가 경관을 바라보며, 파도소리, 바람, 갯내음 등 인체의 오 감을 활용하는 마린힐링테라피 프로그램이 옥외 활동 프로 그램으로 기획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당시 기상악화로 인해 실내에서 실시하였기 때문인 것으로 파악되어, 적절한 프로 그램 운영 공간의 중요성을 나타내고 있다.
② 해양치유 프로그램 효과성 인지
건강증진 도움 정도 질문에 대해 태안 참가자들은 매우 도움(64.8%), 도움(22.9%)로 대부분의 참여자들이 긍정적으로 답변하였으며, 추천하고 싶은 대상으로 완도해양치유센터 개관 전 참가자들은 근골격계 질환이 있는 사람(39.1%), 정 신건강에 어려움을 겪는 사람(26.3%), 휴식과 힐링이 필요한 사람(18.4%) 순으로 답변하였다.
완도해양치유센터 개관 후 해양치유 프로그램을 10일간 체험한 참가자들도 건강 증진 도움 정도를 묻는 질문에 도 움됨(65.4%), 매우 도움됨(23.1%) 등 88.5%가 긍정적으로 답 변하였다. 또한 해양치유 프로그램을 추천하고 싶은 사람으 로 근골격계질환자(20.3%), 체중관리가 필요한 사람(18.8%), 정신 건강증진이 필요한 사람(18.8%,) 호흡기계 건강증진이 필요한 사람(17.4%), 피부상태 개선이 필요한 사람(13.0%), 소 화기계질환자(8.7%)라고 답변하여 다양한 질환에 해양치유 프로그램을 추천하고 있다.
③ 해양치유 프로그램 이용요금 지불의사 및 적정요금
해양치유 프로그램 지불의사에 관하여 태안 참가자의 81.5%가 이용요금을 지불하고 재방문할 의사가 있다고 답변 하였으며, 참여한 프로그램의 평균 적정 가격으로는 1박 2일 153,642원, 2박 3일 249,571원으로 조사되었다. 한편 1회 체험 해양치유 프로그램 적정 가격으로 1-5만원이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6-10만원으로 해양치유 프로그램에 대한 유료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울진 해양치유 프로그램 참가자 들은 체험한 1박 2일 해양치유 프로그램 적정한 비용으로 평균 가격 155,000원으로 답변하였다.
따라서 1박 2일간 숙박과 식사, 센터 프로그램 이용 요 금이 표함된 해양치유 패키지 프로그램 적정 가격은 15만 원대이며, 단일 프로그램 이용 요금은 5만원 미만임을 알 수 있다.
④ 해양치유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해양치유 프로그램 참가차들의 분포를 살펴보면, 여성이 남성보다 많고, 연령은 50대 이상 참가자(77.8%)가 대부분이 며, 다음으로 20대, 30대, 40대(9.3%), 10대 청소년 이하 어린 이 참가자였다. 10대 참가자의 경우, 체험 참가자의 동반자 이며, 자발적인 참가자는 없었다.
참가 동기에 대한 답변으로는 방문객들은‘새로운 경험의 기회가 될 거 같아서’라고 답변하였고, 지역주민들의 ‘건강 증진 에 도움이 될 거 같아서’라고 답변하였다. 해양치유 프 로그램을 10일간 완도 지역주민들의 경우도,‘치유에 도움이 될 거 같아서’참가하였다고 답변하였으며, 대부분의 참가자 들이 질병 증상 호전을 경험하였다고 응답하였다. 또한 향 후 치유 전문가와 함께하는 프로그램이 마련되면 좋겠다고 답변하여 지역주민들을 위한 전문적인 치유 프로그램 마련 이 필요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한편 방문객들에게는 휴식과 힐링이 되는 체험 프로그램 중심으로 구성하되, 바닷가에서 의 옥외 활동 프로그램도 함께 구성할 필요가 있다.
적절한 프로그램 이용 시간 질문에는 주민들은 ‘3시간 이 내의 반나절 이용’을 선호하며 주 2-3회 편한 시간에 방문하 여, 한 달 이상 지속적으로 이용하기를 희망하였다. 반면에 방문객은 2박 3일(42.4%), 1박 2일(24.2%), 3박 4일 이상 (18.2%) 이용을 희망하여, 대부분의 방문객이 숙박형 해양치 유 프로그램을 선호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이들은 체류 기간동안 연속적으로 이용하기를 희망하였다.
2024 완도 해양치유 리빙랩의 경우, 질환자를 대상으로 해양치유 리빙랩을 운영하였으며 한 그룹은 아토피피부염 환자를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신청자 중 일부는 여러 사람 이 동시에 이용하는 다중 입욕 프로그램을 기피하여 참가를 포기하는 현상이 발생하였다. 이는 피부 감염에 취약한 환 자들이 다중 시설 이용 시 피부염이나 가려움 악화를 우려 하기 때문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질환자 대상 해양 치유 프로그램을 운영할 경우 환자들의 심리적, 신체적 특 성을 파악하여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운영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⑤ 기타 자유 의견
기타 의견으로 실내 이동 시 몸이 젖어 추웠고 체온을 올 릴 수 있는 시설 또는 방안이 필요하다. 안전을 위해 해수풀 내 손잡이가 필요하다. 효과 평가를 위한 시간 단축이 필요 하며 측정 결과를 고객들에게 설명해 주면 좋겠다. 프로그 램을 소개하거나 고객 동선에 대한 안내물이 충분하지 않으 며, 테라피실 내 진행 상황을 외부에서 알 수 있게 하는 사 인물이 필요하다 등 다양한 의견이 있었다.
고객들의 피드백은 대부분 수렴되어 완도해양치유센터 시설과 서비스 개선에 반영되었다.
2021년부터 2024년까지 4년간 실시된 해양치유 리빙랩 운 영 현황 및 평가 결과는 Table 7에서 정리하였다.
3.6 해양치유 전문가그룹심층인터뷰(Focus Group Interview)
해양치유 전문가 심층인터뷰는 2023년 8월부터 10월까지 진행하였으며, 대상자는 해양치유 서비스를 제공 받은 경험 이 있는 완도 주민과 방문객(사용자) 2인, 보건·의료·웰니스· 비지니스 전문가 4인과 완도군 해양치유 관계자(공급자) 2인 총 8명으로 구성하였다. 1차 인터뷰는 그룹 인터뷰로 진행하 였고, 인터뷰 내용을 기반으로 1:1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여 총 2회 인터뷰를 진행하였으며, 해양치유 프로그램과 프로 그램 운영에 관한 내용을 인터뷰하였다(SFAC, 2014).
3.6.1 해양치유센터 운영방향
해양치유 사용자인 주민들과 방문객의 의견이 다소 상이 하다. 주민들은 서비스 이용 요금 할인과 의료서비스와 연 계 방안을 희망하였고, 방문객은 숙박 시설, 관광이나 골프 연계 상품을 희망하였다. 방문시기는 주민들은 생업에 종사 하기 때문에 주 2-3회 편안한 시간에 정기적 이용하기를 희 망하였고, 방문객은 2-3일의 체류기간 내내 연속적으로 매일 방문할 수 있는 상품을 희망했다.
해양치유 공급자인 공무원과 센터 운영자들은 센터 운영 초기에는 고객 유치를 통한 홍보를 위해 다양한 이용 요금 할인 정책을 실시할 것이라고 답변하였다.
한편, 전문가들은 치유 프로그램의 효과성과 전문성 확보 를위해 치유 서비스와 의료기관과 연계할 것과 의료인들의 지속적인 자문 역할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3.6.2 해양치유 인프라 구축
사용자들은 센터 접근성을 개선하기 위해 대중교통편을 마련해 줄 것과 숙박 시설 마련 및 연계를 강조하였다.
이에 공급자는 대중교통편으로 완도해양치유센터와 완도 터미널 간 셔틀버스를 운영 중이고 센터 인근 숙박 시설과 연계한 요금 할인 정책을 준비 중이라고 답변하였다.
한편, 전문가들은 재활운동과 같은 전문 치유 프로그램 운영을 위한 시설과 장비 마련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제시하 였다.
3.6.3 해양치유 프로그램
사용자들은 건강증진에 도움이 되는 해양치유 프로그램 의 제공을 기대하고 있으며, 경험 많은 전문 치유사들로부 터 서비스를 받고 싶다고 말하였다.
이에 공급자는 운영 초기에는 이용객 수를 늘리고 홍보가 중요해서 체험 프로그램 중심으로 운영할 예정이며, 이용객 의 체험 피드백과 전문가 의견을 반영하여 전문 치유 프로 그램을 운영할 계획이라고 답변하였다.
전문가들은 해양치유 프로그램 운영에 있어 체험 프로그 램과 전문 치유 프로그램은 구분이 필요하다고 답변하였다.
4. 해양치유 프로그램 운영모델 개발
해양치유 프로그램 운영 모델 개발을 위한 리빙랩 운영 및 전문가심층인터뷰 결과 다음과 같이 운영모델을 제시할 수 있다. 해양치유 정책, 목표 고객, 해양치유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해양치유 시설 및 인프라 순으로 제시한다.
4.1 해양치유 정책
해양치유사업을 활성화하기 위한 방안으로 중앙정부의 정책과 해양치유 협력지자체 정책으로 구분하여 제시할 수 있다.
중앙정부의 정책과 역할은 해양치유사업 확산과 대국민 인식 제고를 위해 홍보하는 일과 사회적 취약계층을 위해 추진하는 지원 정책, 인구 감소, 기후 변화 등 트랜드에 대 응하는 정책 등 타부처 추진 사업과 해양치유 서비스 연계 를 위해 부처 간 또는 부처 내 업무 협조 체제를 구축하는 일이다.
해양치유 협력 지자체의 정책은 해양치유산업 활성화를 위해 센터 운영이 안정적이고 성공적으로 정착할 수 있도록 다각도로 지원하는 정책과 해양치유 서비스 이용자의 요금 부담을 줄여주는 경제적 지원 정책이 있다.
해양치유 서비스 주요 고객은 지역주민과 방문객이며, 해양치유센터는 기본적으로 이용객이 지불하는 이용 요금 을 주 수입원으로 운영하는 구조이므로 이용객수를 늘릴 수 있는 다양한 요금제도와 이용 요금 지원 정책이 필요하다. 요금지원제도는 방문객일 경우와 지역주민일 경우를 다르 게 운영한다.
지역주민의 경우는 매 입장 시 주민 우대 기본 할인이 적 용되기를 가장 선호하고 이 외에도 규칙적으로 방문하여 건 강증진 활동이 용이하도록 장기 이용 할인 요금 제공을 희 망하였다. 지역 내 기업 및 공공기관 근로자 복지 프로그램, 포상, 휴가 등과 연계, 소외계층 및 공공근로 종사자 지원 프로그램이나, 노약자, 장애인, 외국인 근로자 등 취약계층 지원 프로그램과 연계하여 다양한 요금지원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방문객의 경우 이용객의 규모나 이용 기간을 고려하여 할인 요금을 부여하고 축제 기간 내 할인, 지역 내 타 관광 지 방문 할인, 지역 상품권 지급 등을 고려할 수 있다.
국내 최초 완도해양치유센터는 지난 11월 개관 1주년을 맞이하였으며, 기존의 웰니스 프로그램과 차별화된 해양치 유 프로그램으로 약 5만명 이용객이 다녀갈 정도로 성공리 에 운영 중이며, 안정적으로 정착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해양치유 관계자들은 완도해양치유센터 성공의 핵심 요인으로 정책을 추진하는 지도자의 해양치유에 대한 높은 이해도와 기획 단계부터 서비스 제공까지 10여년에 걸친 지 속적인 정책 추진 의지를 꼽는다. 해양치유 추진 지방자체 단체의 책임자와 관계자의 지속적이고 일관적인 해양치유 정책 추진의 중요성을 보여 주는 사례이다.
4.2 해양치유 목표 고객
대국민 해양치유 수요 조사와 해양치유 리빙랩 참가자들 의 연령을 분석한 결과, 해양치유 주요 목표 고객은 50대에 서 70대 성인 남녀이다. 다음으로는 20대와 30대 성인 남녀 이었으며 10대 이하 어린이 참가자는 극히 소수이다. 이들을 자발적인 해양치유 참여자로 보기는 어렵고, 대부분 해양치 유 사용자 동반객으로 이해한다.
고객 분류는 기업 고객, 단체 고객이 있고, 체험객 또는 질환인 등 목적별 고객이 있으며, 어린이, 청소년, 장애인, 임산부, 퇴직자 등 연령별, 직업별, 상황별, 다양한 고객층이 있으므로, 수요자에게 적합한 해양치유 서비스를 제공한다.
4.3 해양치유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해양치유 프로그램은 체험 프로그램과 치유 프로그램으 로 구분하여 제공한다.
반나절 또는 종일 이용객을 체험 고객으로 분류하고, 체험 프로그램은 센터의 프로그램과 시설물을 두루 체험하면서, 휴식과 힐링을 도모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제공하며, 센터의 대표 해양치유 프로그램으로 운영한다. 또한 해양치유 고객 들은 옥외 활동을 선호하므로 바닷가에서 파도소리를 듣고 해양의 에어로졸을 흡입하며, 경관과 함께하는 야외 활동 프 로그램을 함께 제공한다. 해양의 기후와 경관 등 바닷가에서 의 오감자원을 활용하는 치유 활동은 웰니스 프로그램과 해 양치유 프로그램을 구분하는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옥외 해양치유 프로그램을 상시 운영하며, 프로그램 내 용과 일정을 홈페이지에 소개함으로써, 해양치유센터 이용 객들이 방문 계획을 세우는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여야 한다.
지역주민들은 해양치유 활동이 건강증진에 도움이 되며, 치유 효과를 기대하는 경향이 있다. 또한 지속적으로 센터 를 방문할 수 있는 여건을 가지고 있으며, 합리적인 비용을 지불하고 지속적으로 이용할 의향이 있으므로 주민들을 위 한 건강증진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이들은 센터에 전문가가 상주하고 있어 프로그램 이용을 가이드하고 센터 이용 중 자신들의 건강 상태와 일상생활 관리에 대해 수시로 상담하 기를 희망한다. 따라서 치유 목적별 전문 치유 프로그램을 위한 공간, 시설, 장비를 구비하는 일과 숙련된 전문가 확보 가 요구된다. 특히 바닷가 지역 고령 인구에게 흔한 질병인 근골격계 질환자들을 대상으로 통증 관리나 재활 운동에 도 움을 줄 수 있는 전문가와 시설, 장비가 마련되어야 한다. 이 외에도 지역의 다발생 질환을 파악하여 우선 수요가 있 는 치유 프로그램부터 운영하되, 효과적인 서비스가 될 수 있도록 의료서비스와 연계 방안을 마련한다.
치유 목적 해양치유 프로그램은 3일 이상 연속적으로 제 공한다(ISO 17680). 우울 또는 스트레스 완화, 통증 경감, 체 형 불균형 개선, 보행 능력 향상, 수면의 질 개선, 피부 상태 개선, 체지방 감소, 근육량 증가 목적의 프로그램을 운영할 수 있고, 1:1 맞춤 운동과 자세 교정, 심리 치유, 피부건강증 진과 같은 전문 치유프로그램도 제공한다. 다만 전문 프로 그램 운영을 위해서는 해당 전문 분야의 자격을 갖춘 전문 가가 있어야 하고, 시설이나 공간 구성, 장비를 마련함에 있 어서도 법적인 요구사항이 있을 수 있으니, 충분히 검토하 여 적법하게 운영한다.
맞춤형 해양치유 프로그램 제공을 위해 해양치유 프로그 램 참가 전과 후 이용객의 신체 상태를 측정하여, 치유 효과 를 평가한다. 측정실에는 간호사, 물리치료사, 생활체육지도 사와 같은 보건·의료·건강 분야 전문가를 배치하여 정확하 고 효율적인 평가를 모니터하거나, 평가 결과를 고객에게 설명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고객으로부터 정보를 수집하 고 관리함에 있어 법규정을 준수한다.
프로그램 대상이 관절염, 아토피피부염, COPD, 공황장애, 우울증 등 질환인이거나 장애인일 경우, 정신적·신체적 특성 을 고려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적절하게 서비스가 제공 되도록 배려한다. 예를들면 고혈압과 당뇨, 퇴행성 관절염을 앓고 있는 노인이 입욕 프로그램을 이용할 경우, 욕조 안으 로 출입을 돕는 계단식 받침대를 놓아주거나, 입욕 도중 숨 이 찰 경우, 욕조 밖으로 나와 휴식을 취할 수 있는 의자를 욕조 주변에 배치한다. 아토피질환자의 경우, 피부에 자극이 나 감염 우려가 있는 다중 입욕 시설이나 고온에 노출되는 시설 이용을 최소화한다. 이 외에도 직업별, 거주지별, 연령 별 특성이 있으므로 직원들의 직무 향상 교육을 통해 특이 고객의 특징과 케어 방안을 숙지시킨다.
프로그램 운영 시간을 정할 때는 오전, 이른 오후, 늦은 오후, 야간 또는 주중과 주말, 축제 시즌, 하절기 동절기 등 으로 주로 이용하는 고객층을 세분화하여 운영한다.
주민 이용 요금과 방문객 이용 요금, 개인 고객과 그룹 고 객 요금은 차등을 두도록 한다. 주민들은 가벼운 요금으로 자주 이용하기를 희망하며, 유사 시설로 목욕탕이나 수영장 을 고려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이 시설들의 요금을 고려하 여 이용 요금 할인을 적용할 필요성이 있다. 방문객은 동반 이용객이 대부분이므로 인원수를 고려하여 일행을 합산한 요금에 할인 혜택을 부여하도록 한다. 센터 이용 요금과 관 련하여 사용자들은 1인 세 시간 이용 요금으로 35,000원은 합리적인 금액이라고 생각하며 숙박형 패키지 프로그램 요 금은 수요 조사와 리빙랩 운영 결과의 평균값으로 제안하 며, 숙박과 식사, 프로그램 이용 요금을 포함하여 1박 2일 요 금으로 1인당 142,625원을 제시한다. 하지만 체류형 고객 요 금은 숙박 시설의 등급이나 특별식 제공 여부와 횟수, 프로 그램 진행 치유 전문가의 숙련도 등 서비스 품질에 따라 달 라질 수 있다.
4.4 해양치유 공간 및 인프라 구축
고객이 머무는 공간을 편안하고 따뜻하게 조성함으로써 치유 효과를 높이고 고객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해양치유 체험객들에게 제공되는 프로그램이 휴식과 힐링, 그리고 치 유 목적에 부합하기 위해서는 전문가들은 프로그램 제공 공 간에 대한 세심한 구성과 관리가 필요하며 치유 서비스 공 간 마련에 고려해야 할 사항들을 다음과 같이 제안한다 (GWI, 2018). 프로그램 이용 도중 쉬어갈 수 있는 등을 기댈 수 있는 의자를 충분히 배치하여야하며, 젖은 몸의 체온을 높이는 사우나 또는 바닥이 따뜻한 휴게 공간을 마련한다. 수분을 보충할 수 있는 정수기와 음료 자판기 등도 고객 동 선 상에 마련하도록 한다.
치유공간전문가 Burcu에 의하면 일반적으로 치유 고객들 은 넓고 환하고 사람이 적은 공간에서 편안함을 느끼는 경향 이 있으며 인체의 오감을 통해 반응하므로, 자연 친화적이고 고급스러운 인테리어, 따뜻한 느낌의 조명, 편안한 음악, 기 분 좋은 향기 등 심신 이완에 도움이 되는 공간을 구성해야 함을 강조하였다(Burcu, 2012). 전체적으로 이용객들이 느리 고 편안하고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도록 동선과 매뉴얼을 마 련하는 것도 긍정적인 치유 경험에 영향을 미친다.
실내를 늘 쾌적하고 위생적으로 관리하는 일도 중요하다. 해양치유센터는 습도가 높은 바닷가에 위치하고 있으며, 3 5℃ 내외의 해수온수풀이므로 체육관의 실내 수영장과 달리 높은 습도 관리가 필요하다. 천연 재료의 화장품을 사용하 는 치유실은 공기 순환이 원활하지 않을 경우, 실내에서 악 취가 나, 불쾌감을 유발하고 치유실에서 긴 시간을 보내는 직원들은 만성 두통이나 피부질환에 취약해진다. 축축한 바 닥, 청결하지 못한 실내 환경은 관리가 안되고 있는 느낌을 주어 전반적인 서비스 질 저하의 요인이 되며, 고객과 직원 의 안전을 위협하는 원인이 될 수 있다.
프로그램 정보와 동선을 안내하는 안내물을 충분히 설치 하는 일과 치유실 내부 상황을 외부에서 모니터할 수 있는 안내판 설치도 필요하다. 안내물이 충분하지 않을 경우, 고 객들의 불필요한 이동이 많아지고, 직원들에게 진행 상황을 수시로 묻기 때문에 본의 아니게 업무 방해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해양치유센터 서비스 시설 이외에도 서비스 이용을 위해 교통 및 숙박, 서비스 인프라가 마련되어야 한다(Lee, 2023). 해양치유센터 접근성을 위해 셔틀이나 노선버스의 증차를 고려할 수 있으며, 노약자들에게는 택시 바우처를 제공할 수도 있다.
5. 결 론
본 연구는 산업적 초기단계에 있는 해양치유 산업 활성화 를 위하여, 해양치유 서비스 모형을 제시하고자, 2021년부터 2024년까지 충남 태안(서해안), 전남 완도(남해안), 경북 울진 (동해안)에서 수요자 맞춤형 해양치유 리빙랩을 운영하였으 며, 그 결과, 해양치유 프로그램과 운영 모델을 제시하는 연 구이다.
먼저, 해양치유 문헌 및 사례 분석과 수요 조사를 통해 국 내외 해양치유 동향을 분석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해양치유 프로그램과 운영 모델을 기획하고 시범운영 형태로 리빙랩 을 운영하였다. 해양치유 리빙랩 참가자들의 만족도 및 효 과성 평가 결과, 사용자, 공급자, 전문가의 피드백을 반영하 였으며, 전문가그룹심층인터뷰(FGI)를 수행하고 이를 통해 해양치유 프로그램과 운영 모델을 완성하였다.
해양치유 프로그램은 해양치유자원 활용요법과 전문 해 양치유 프로그램, 지역 특성화 해양치유 프로그램으로 제시 하였다. 해양치유자원 활용요법은 해수 입욕, 해수 마사지, 해수 샤워, 해조류 또는 머드 팩과 랩핑 등 전통적인 탈라소 테라피 요법을 실시한다. 옥외 해양치유 활동 프로그램인 마린힐링테라피와 정신건강증진을 도모하는 마린아트테라 피 프로그램을 전문 해양치유 프로그램으로 소개하였다. 마 지막으로 지역 자원 연계 해양치유 프로그램을 통해 지역의 경제 및 관광 활성화를 도모하는 지역 특성화 해양치유 프 로그램을 제안한다.
해양치유 비즈니스 모델로는 해양치유 정책, 해양치유 목 표 고객, 해양치유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해양치유 시설 및 인프라 구축 방안 순으로 제시하고 있으며, 해양치유 프 로그램 운영과 관련된 내용들을 제시하고 있다.
본 연구 결과는 국내에 사례가 없는 해양치유 사업을 추 진하면서, 해양치유 이용자의 니즈와 5회차에 걸쳐 다양한 현장에서 시범운영을 실시한 실증 연구 결과를 반영한 연구 로 한국의 현황과 수요에 적합한 한국형 해양치유 프로그램 과 운영 모델을 도출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특히 해 양치유 서비스 대상과 공급자, 연구자 간 협업 체제인 리빙 랩 연구를 도입하였다는 점은 해양치유 분야에서는 처음으 로 시도되었으며, 해양수산분야에서도 흔치 않은 시도라고 볼 수 있다.
유사한 선행 연구 사례가 충분하지 않은 상태에서 해양치 유 리빙랩 연구가 실시되어 연구 추진 단계별로 보다 더 심 도 있는 연구를 실시하지 못한 것에 대한 아쉬움이 있으며, 향후 추진되었으면 하는 몇 가지 연구를 제안하고자 한다.
해양치유 프로그램 개발 부분은 구체적인 치유 목적별 해 양치유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또한 완도를 제외한 태 안과 울진의 경우와 같이 해양치유 서비스를 위한 공간과 시설, 장비 등 인프라가 충분히 마련되지 않은 상태에서 실 시한 리빙랩 연구들은 프로그램 구성과 운영에 한계가 있으 므로, 최적 환경 해양치유 서비스 제공을 위해서는 해양치 유센터 완공 후 센터별 시범운영을 재실시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고 있는 비즈니스 모델은 해양치유 프 로그램을 운영함에 필요한 내용들이다. 따라서 해양치유센 터 운영 전반에 필요한 인력 관리, 예산 운영, 교육, 홍보, 마 케팅 등 해양치유 사업 전반에 걸친 비즈니스 모델 개발 연 구가 필요하다. 아울러 현재의 프로그램 운영 모델은 해양 치유센터의 본격적인 서비스를 앞두고 초기단계에서 고려 할 수 있는 보편적인 해양치유 프로그램 운영 가이드라인 성격이 강하므로 추후 센터별 해양치유 프로그램과 최적 운 영 방안을 마련할 때에는, 지역별 수요와 여건, 시장환경 변 화, 인프라 등을 고려하여 최적화된 비즈니스 모델 개발 연 구를 추진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