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229-3431(Print)
ISSN : 2287-3341(Onlin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and Safety Vol.31 No.1 pp.130-137
DOI : https://doi.org/10.7837/kosomes.2025.31.1.130

Effect of Insecure Attachment to Smartphone Addiction Tendency of Korea Coast Guard

Jong-gil Kim*
*Professor, Dep’t of Maritime Police Science, Kunsan National University
November 19, 2024 January 10, 2025 February 25, 2025

Abstract


The work of the Coast Guard to prevent maritime accidents and crimes entails risks and suddenness. Due to the main characteristics of ship work at sea, the organization's vertical structure and rigid environment also negatively affect the values and mental health of Coast Guard officials. This environment causes psychological exhaustion in the Coast Guard and negatively affects the relationships within the home and organization, which can hinder attachment stability. As a result, a high smartphone addiction tendency was confirmed in the Coast Guard, who showed a tendency to avoid the interaction of others. The Coast Guard, as a collective, should take the initiative to ease the hierarchical communication structure within the organization and promote emotional exchanges between colleagues, creating an open communication culture at the team level. It is necessary for each member to be proactive in solving fundamental emotional problems and preventing smartphone addiction by detecting and managing unstable attachment problems early through regular psychological state checks and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해양경찰공무원의 불안정성인애착이 스마트폰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

김종길*
*국립군산대학교 교수

초록


해양사고 및 범죄 예방을 목적으로 하는 해양경찰의 업무는 위험성과 돌발성을 수반하며, 조직은 상명하복과 권위적인 조직문화를 지닌 준군사조직의 형태를 보인다. 해양에서의 함정근무가 주를 이루는 특성상, 조직의 수직적 구조와 경직된 환경 역시 해양경찰 공무원의 가치관과 정신건강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 심리적 불안은 스마트폰 중독으로 이어질 가능성을 높이며, 이는 해양경찰의 업무 집중력과 위기 상황 대처 능력을 저하시켜 조직 전체의 효율성에도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 해양경찰의 불안정 애착과 스마트폰 중독 간에는 밀접한 연관이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정신 건강 증진과 스마트폰 중독 예방을 위한 정책적 대안이 필요하다. 해양경찰의 불안정성인애착과 스마트폰 중독경향성의 영향 관계를 확인하기 위하여 군산지역의 해양경찰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였다. 구체적인 분석 방법으로는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회피애착 성향을 보이는 해양경찰에게서 높은 스마트폰 중독경향성이 확인되었다. 회피애착 유형의 사람은 타인과의 상호작용을 회피하려는 성향을 보이며 이에 따라 정서적 교류 대신 스마트폰을 선택한다. 해양경찰은 조직 내 위계적 소통구조를 완화하고, 팀 단위의 개방적 소통 문화를 조성해 동료 간의 정서적 교류를 촉진해야 한다. 또한, 정기적인 심리 상태 점검과 인지행동치료를 도입해 불안정성 애착 문제를 조기에 발견하고 관리함으로써 근본적인 정서적 문제를 해결하고 스마트폰 중독을 예방해야 한다.



    1. 서 론

    해양경찰은 해양사고 및 해양 전반 범죄 예방을 위한 공무를 수행한다. 주변국과 영유권 분쟁 및 불법 조업 등의 문제와 더불어 해양레저 및 관광 수요가 급속히 증가함에 따라, 해양경찰의 역할은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Kim, 2024). 해양안전 수호를 위한 해양경찰의 업무에는 항시 위험성과 돌 발성이 전제된다. 해양경찰의 업무특성상 해양경찰 조직은 준군사조직의 형태로서 엄격한 상명하복과 상의하달식 의사소통 구조를 보인다. 이에 따라 해양경찰 조직문화 역시 권위적 위계문화가 가장 강하고, 강인한 남성상을 추구하는 방향으로 형성되었다(Kim and Hwang, 2012). 더불어, 해양경찰 업무 대부분은 주로 해양에서 함정 근무로 이루어진다. 위험성이 높은 해양경찰 임무의 성공적인 수행을 위해 해양 경찰 조직은 다소 수직적이고 경직된 특징을 보이며, 이러한 조직환경은 해양경찰 공무원의 가치관에 거시적인 영향을 미친다(Kim, 2024;Kim, 2017;Eom and Lee, 2019).

    해양경찰의 조직 및 업무 특성은 해양경찰의 심리적 소진 등 정신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데(Lee et al., 2014), 이는 해양경찰 애착의 안정에도 부정적으로 작용한다. 위험성과 돌발성을 일상적으로 감수해야 하는 해양경찰은 높은 스트레스를 받게 되고 이는 가정 및 조직 내 관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특히, 해양경찰의 업무 중 위기 돌발 상황에 반복적으로 노출되면 안정적인 애착 형성에 큰 문제를 겪는다. 해양경찰 조직 내 정서 지원을 위한 제도가 부족한 경우, 해양경찰은 스트레스나 불안, 애착 문제를 해소할 기회가 제한된다. 다른 공공조직에 비해서도 외부와의 소통이 제한된 해양경찰의 경우와 같은 심리적 지원의 부재가 더 심각하게 느껴질 수 있다.

    해양경찰의 심리적 불안에 기인한 불안정 애착의 문제는 스마트폰 중독과 같은 현상으로 이어질 수 있다. 심리적 불안으로부터 일시적 안정을 찾기 위해 스마트폰에 의존하려는 경향이 생기고, 이러한 경향이 스마트폰 중독으로 이어지는 경우 해양경찰 개인 및 조직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해양경찰의 업무 특성상 긴급 상황에 즉각적으로 대응 해야 하는 상황이 잦음에도 불구하고 낮은 업무 집중력을 보이며, 전반적인 위기 상황 인식이 저하될 수 있다. 비효율적인 업무 몰입으로 인해 직무 능력이 저하되는 경우에는 해양경찰 조직 전반의 수준 저하로 이어질 수 있다.

    이 연구는 해양경찰의 불안정성인애착과 스마트폰 중독 간의 관계를 경험적으로 확인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해양 경찰공무원의 불안정성인애착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을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해양경찰공무원의 정신건강을 증진하고, 스마트폰 중독 예방을 위한 정책적 근거를 제시하였다.

    2. 이론적 배경

    2.1 불안정성 애착

    애착(attachment)은 지인 등 가까운 사람과의 정서적 유대감으로서 Bowlby(1958)가 개발한 개념이다. Bowlby(1958)는 애착을 유아 시절 양육자 간의 상호작용에서 비롯되는 본능적 개념으로 설명하였으며, 이를 통해 개인은 안전감(sense of security)을 형성하고, 스트레스를 관리하며, 새로운 환경에 적응할 수 있는 능력을 발달시킨다고 제안하였다. 이에 따라 애착은 어린 시절 양육자와의 정서적 유대에 의한 ‘안정 애착’과 ‘불안정 애착’의 유형으로 구분되며, 성인에 이르기까지 개인의 성격과 행동, 대인관계 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어린 시절 정서적 유대 관계는 개인에게 생존과 안전을 인식하는 데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양육 자와의 상호작용 관계는 성인기에 다양한 관계 특히 조직 내의 구성원 관계까지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클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Shaver and Hazan(1987)는 애착유형에 대해 안정형, 회피형, 불안형으로 구분하였다. 안정형은 주변인들과 가까워지는 것이 상대적으로 어렵지 않으며, 주변인들에게 의존하는 것과 주변인들이 자신에게 의존하는 것에 별다른 어려움이 없는 유형이다. 회피형은 주변인들과 가깝게 지내는 것을 다소 불편해하는 유형으로서 주변인을 완전히 신뢰하는 것과 주변 사람에게 의존하기를 어려워하는 유형이다. 불안형은 주변인들이 원하는 만큼 가깝게 지내는 것에 어려움을 느끼는 유형인데, 특히 주변인들이 자신을 신뢰하지 않을 것에 걱정하는 유형이다.

    애착유형 중 안정형은 조직 내에서 문제가 될 가능성은 매우 적지만, 회피형과 불안형은 조직의 전체적인 면과 조직 구성원 간의 관계에서 부정적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크다. 회피형과 불안형은 특히 조직 구성원에 대한 상호 신뢰 형성에 문제가 될 가능성이 있는데, 이에 대한 행동으로서 스마트폰이라는 대체 형태에 몰입할 가능성이 크다.

    결과적으로 회피형과 불안형은 해양경찰의 조직 효과성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양육자와의 상호작용에서 비일관적, 지속적인 무반응과 무시 경험을 하게 되면 불안 정애착을 형성할 가능성이 커진다(Lee and Kim, 2023). 유아기에 형성된 애착은 부모와의 정서적인 유대감으로 인식될 뿐만 아니라 성인기에 타인과의 관계 형성에 큰 영향을 미친다(Park and Lee 2010). 불안정애착은 부정적인 내적작동모델이 작동하여 우울, 불안 등의 감정으로 이어진다. 이러한 경우 자신의 삶의 행태에 대하여 부정적인 내적표상으로 공격적인 행동을 일삼게 되며, 왜곡된 의사소통으로 타인과의 관계에서 어려움을 경험하게 된다. 즉, 애착의 결핍은 부정적 행동의 발현으로 이어질 수 있다.

    2.2 스마트폰 중독

    스마트폰 중독은 스마트폰 사용에 과도하게 의존적이며, 몰입되어 스스로 조절할 수 없는 상태를 의미한다(Moon and Choi, 2015). 즉 중지하려는 의지와 사용하려는 충동을 조절 하지 못하는 상태를 말한다(Ahn, 2018). Griffiths(2005)는 행위 중독을 현저성(salience), 기분 변화(mood modification), 내성 (tolerance), 금단증상(withdrawal symptoms), 갈등(conflict), 재발(relapse)의 6가지 구성요소로 정의하였지만 어떤 행동을 과도하게 행한다는 이유만으로 이를 행위중독으로 진단할 수 없다고 하였다. 또한 스마트폰 중독의 구성요소를 ‘사용자의 주관적인 목표와 비교했을 때, 조절능력이 상실되는 조절실패(self-control failure)’, ‘스마트폰의 생활패턴이 다른 삶의 양식보다 중요한 의미를 가지는 현저성(salience)’, ‘신체적‧ 심리적‧사회적으로 부정적인 결과를 경험함에도 지속적으로 이용하는 문제적 결과(serious consequences)’로 정의하기도 한다(Ministry of Science and ICT &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2023).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는 여러 가지가 있다. 먼저, 우울, 불안 요인은 스마트폰 과의존을 넘어 금단, 내성의 성향까지 포함하는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 이다. 우울감을 느끼는 사람들은 현실에서의 만족이나 행복감을 느끼기 어려워지며, 이에 따라 스마트폰을 통해 즉각적인 만족을 찾으려는 경향이 강해진다. 불안이 강할수록 개인은 외부 자극에 민감하게 반응하게 되고, 외부에서 안정감을 얻으려 하는 경우가 커진다. 이러한 심리는 스마트 폰을 자주 확인하는 경향으로 이어지며, SNS 사용자의 경우 끊임없는 내용 확인 및 메시지 확인으로 이어지게 된다(Kim and Han, 2023).

    사회적 낙인감, 고립감, 외로움도 SNS 중독에 영향을 미친다. Chang et al.(2020)에 따르면 성인 여성이 주변 사람들과의 교류를 중시하며, 커뮤니케이션을 목적으로 스마트폰을 사용하게 된다. 만약 관계에서 소외당할 것 같은 불안감 때문에 집단과 관련된 정보를 공유하고 이에 민감해지는 상태가 되어 SNS에 더욱 몰두하게 된다. 또한 소외감은 소외감 과 중독과의 관계에서 기본심리욕구의 결핍이 내적 동기를 결여하고 외로움을 야기하고 중독에 이르게 한다.

    자극추구 기질이 높으면 새로운 자극을 빠르게 제공하는 스마트폰에 흥미를 느낄 가능성이 높으며, 종국적으로는 지나친 의존이나 강박적 사용, 스마트폰 사용으로 인한 일상 생활 장애로까지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 특히, 스마트폰이 제공하는 주의 분산효과, 기분고양, 긴장완화는 불안회피가 행동의 주목적인 위험회피 기질의 청소년에게 매우 매력적인 강화물이 될 수 있다(Choi and Kim, 2021).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처럼 지각된 스트레스가 과도하게 높은 경우에도 그 상황에 매몰되어서 자신의 일상으로부터 도피하고자 스트레스 완화와 자극 추구를 위해 스마트폰 중독에 빠지게 된다. 직무로부터 극심한 스트레스를 겪는 개인은 즉각적으로 불안과 긴장을 완화할 방법을 찾는 경향을 보인다. 이때 스마트폰은 스트레스를 겪는 개인에게 일시적인 위로와 도피처를 제공하며, 이러한 도피의 상황이 반복되는 경우 스마트폰 중독의 형태로 변모한다. 이에 대해 Jin(2016)은 도피이론모형을 적용하여 스마트폰 중독예방 및 치료에 있어서 스마트폰 사용량과 시간의 조절보다는 인지적, 정서적 개입이 효과적일 것으로 제안한 바 있다.

    2.3 불안정성인애착과 스마트폰 중독의 관계

    불안정성인애착의 유형 중 회피애착 유형의 경우 자신에 대한 긍정적인 표상을 가지지만 타인에 대한 감정의 표현에 주저함과 거리감으로 현실세계에서 상호작용은 회피하지만 충족되지 못한 자기애 욕구를 스마트폰을 통하여 보상받기 위하여 노력한다. 사회적 상황에서의 불안지수가 높고, 타인의 반응과 평가에 민감하여 대인관계를 힘들어할수록 상대적으로 위험성이 낮아보이는 가상세계의 관계에 집착, 몰입하는 경향을 보인다(Park and Jung, 2013). 회피애착 유형의 사람들은 자신이 스스로 감정절제를 잘한다고 보고하였으나, 관찰 자료를 이용한 연구에서는 회피애착 유형의 사람들에게서 감정적 동요와 공격적 태도가 나타나는 것이 확인 되었다(Cassidy et al., 2009).

    불안애착 유형은 자신에 대한 부정적인 표상을 바탕으로 인간관계에 대해 지나치게 몰두하며, 자신이 거절당하는 것에 대한 불안함을 갖게 되어 대인관계 만족도가 낮아지는 경향을 말한다(Kim and Han, 2022). 불안애착 상태는 밀착된 형태의 대인관계 패턴을 유지하며 친밀감에 대한 욕구가 많고 타인에게 과도하게 집중하거나 집착 자존감이 비교적 낯은 상태이기 때문에 자신에 대한 좌절감으로 자신의 가치와 자존감을 내면적인 성숙보다는 외부를 통해 찾으려 한다 (Lee and Lee, 2014). 이는 애착관계에서 경험하지 못한 친밀감 및 유대감을 외부로부터 보상받기 위한 강박적 추구로도 이해할 수 있다(Flores, 2004). 만약 불안애착이 부정적인 정서를 적절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결과로 이어지게 된다면 인터넷 중독과 약물중독과 같은 부정적인 행동을 야기한다 (Choi and Seo, 2015).

    해양경찰 공무원 중 조직 및 직무요인으로부터 대인관계 형성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 불안정성인애착 문제를 겪을 수 있으며 이는 스마트폰 중독으로 이어질 수 있다. 극심한 스트레스 상황에서 정서 조절이 어려운 경우 스마트폰 사용을 통해 현실에서 도피하려는 경향을 보일 수 있다. 그러나 스마트폰 중독은 결과적으로 개인의 우울감, 불안감을 증가 시키는 결과로 이어지며 해양경찰 개인의 직무 성과 하락 및 조직 전반의 역량 저하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에서 예방이 필요하다.

    3. 연구 설계

    3.1 분석의 틀

    이 연구의 목적은 해양경찰공무원의 불안정성인애착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 진행을 위해 독립변수는 해양경찰공무원의 불안정성인애착으로서 하위변인은 회피애착과 불안애착으로 구성하였으며, 종속변수는 스마트폰중독으로서 하위변인은 금단, 일상생활 장애, 가상 세계지향으로 Fig. 1과 같이 구성하였다. 연구 분석 방법은 SPSS WIN 20.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통계처리 하였다.

    3.2. 가설의 설정

    이 연구는 해양경찰공무원의 불안정성인애착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한 것으로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설정하였다.

    가설: 해양경찰공무원의 불안정성인애착은 스마트폰 중독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3.3 설문지 구성

    불안정성인애착(회피애착, 불안애착)을 측정을 위하여 Brennan et al.(1998), Fraley et al.(2000), Kim(2004)의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회피애착을 ‘친밀한 사람과 가까워지거나 의존하는 것에 대해 불편함을 느끼고 꺼리는 것’으로 정의하였다. 또한 불안애착을 ‘친밀한 사람으로부터 버림받거나 거절 당하는 것을 걱정하는 것’으로 정의하였다. 설문의 문항은 총 13문항이고, 회피애착 문항은 7문항 모두 역채점, 불안애착항은 6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스마트폰 중독은 한국정보화진흥원(2011)에서 개발한 척도를 중심으로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중독현상에 대해 적용한 Kim(2015)의 설문도구를 활용하였다. 구체적으로 금단현상 4문항, 일상생활장애 5문항, 내성 4문항, 가상세계지향성 2문항으로 구성하였다. 모든 설문에 대해서는 리커트 5점 척도(1= 전혀 그렇지 않다, 5= 매우 그렇다)로 하여 Table 1과 같다.

    4. 분석 결과

    4.1 인구사회학적 특성

    이 연구에서 조사대상자의 특성은 Table 2와 같다. 성별의 경우 남자는 142명(83%), 여성은 29명(17%), 연령은 20대 46명(26.9%), 30대 59명(34.5%), 40대 44명(25.7%), 50대 이상은 22명(12.9%)이었다. 현 계급은 순경 49명(28.7%), 경장 33명(19.3%), 경사 35명(20.5%), 경위 30명(17.5%), 경감 18명(10.5%), 경정 5명(2.9%), 총경 이상 1명(0.6%)이었다. 입직 경로는 순경 공채 72명(42.1%), 순경-경사 특채 71명(41.5%), 간부후보생 9명(5.3%), 고시 특채 1명(0.6%), 기타 18명(10.5%)이었다. 총 근무기간은 5년 미만 61명(35.7%), 5-10년 미만 43명(25.1%), 10-15년 미만 23명(13.5%), 15-20년 미만 19명(11.1%), 20년 이상 25명(14.6%), 현 직무 근무기간은 5년 미만 139명 (81.3%), 5-10년 미만 21명(12.3%), 10-15년 미만 4명(2.3%), 15-20년 미만 1명(0.6%), 20년 이상 6명(3.5%)로 나타났다. 근무처는 지방청 이상 15명(8.8%), 경찰서 72명(42.1%), 파출소 10명(5.8%), 함정 70명(40.9%), 특수구조단 2명(1.2%), 기타 2 명(1.2%)으로 나타났다.

    4.2 요인 및 신뢰도 분석 결과

    Table 3과 Table 4는 이 연구의 독립변수 및 종속변수의 요인, 신뢰도 분석 결과이다. 이 연구에서는 측정 도구의 신뢰성 확보를 위해 문항의 선택기준은 고유값(eigen value)은 1.0 이상으로 하였다. 고유값이 1.0 이상인 요인은 각 변수의 분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변수의 분산을 설명할 수 있는 중요한 요인으로 간주될 수 있다.

    타당도 검증을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 모든 측정 변수 구성요인을 추출하기 위해 주성분 분석(principle component analysis)을, 요인적재치 단순화를 위해 직교회전방식(varimax)를 채택하였다. 직교회전은 요인 간 상관이 없다는 가정을 바탕으로 요인 적재치를 단순화하여 해석을 용이하게 한다. 요인적재치는 0.40 이상, 신뢰도는 0.6 이상을 기준으로 하였다. 요인적재치 0.40 이상은 해당 요인이 변수의 변동을 충분히 설명할 수 있는 최소 기준으로 사용되며, 신뢰도 0.6 이상은 연구 초기 단계에서 수용 가능한 수준으로 간주된다. 요인분석결과 Table 3과 같이 독립변수인 불안정 성인애착의 경우 회피애착은 7문항, 불안애착은 6문항을 분석에 활용하였다. 종속변수의 경우 금단현상 4문항, 일상생 활장애 5문항, 내성 3문항을 분석에 활용하였다.

    4.3 연구 가설 검증 결과

    Table 5는 해양경찰공무원의 불안정성인애착이 스마트폰 중독 하위변인 중 금단에 미치는 결과이다. 해양경찰공무원의 불안정 성인애착 유형 중 회피애착은 스마트폰 중독 하위변인 중 금단에 미치는 영향은 t값이 –4.306으로 나타나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해양경찰공무원의 불안정성인애착 유형 중 불안형은 스마트폰 중독의 하위변인 금단과의 관계에서 t=1.964(p=.051)로 나타나 영향 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Table 6은 해양경찰공무원의 불안정성인애착이 스마트폰 중독 하위변인 중 일상생활장애에 미치는 결과이다. 해양경찰공무원의 불안정성인애착 유형 중 회피형은 스마트폰 중독 하위변인 중 금단에 미치는 영향은 t값이 –4.214로 나타나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해양경찰 공무원의 불안정성인애착 유형 중 불안형은 스마트폰 중독의 하위변인 일상생활장애와의 관계에서 t=1.500(p=.136)로 나타나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Table 7은 해양경찰공무원의 불안정성인애착이 스마트폰 중독 하위변인 중 내성에 미치는 결과이다. 해양경찰공무원의 불안정성인애착 유형 중 회피형은 스마트폰 중독 하위변인 중 내성에 미치는 영향은 t값이 –4.510으로 나타나 부(-) 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해양경찰공무원의 불안정성인애착 유형 중 불안형은 스마트폰 중독의 하위 변인 내성의 관계에서 t=1.748(p=.082)로 나타나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5. 결 론

    해양경찰은 해양 사고 및 해양 범죄를 예방하기 위해 높은 위험성과 돌발성을 감수해야 하는 특수한 업무를 수행한다. 준군사조직의 성격을 띠는 해양경찰 조직은 권위적 위계질서와 상명하복이 강하게 자리잡고 있으며, 위험이 높은 해양 업무 특성상 심리적 소진과 불안정 애착 등의 정신 건강 문제가 나타나기 쉽다. 특히 정서적 지원 제도가 부족한 상황에서 스트레스와 불안은 해양경찰의 가정 및 조직 내 관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여러 선행연구에 근거했을 때 해양경찰의 정신적 불안은 스마트폰 중독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고, 결과적으로 해양 경찰의 집중력과 위기 대처 능력을 저하해 조직의 업무 효율성과 대응력에도 악영향을 준다. 이 연구는 해양경찰의 불안정 애착이 스마트폰 중독과 밀접한 연관이 있음을 밝혔으며, 이를 토대로 정신건강 지원과 중독 예방을 위한 제도적 대안을 제시했다.

    분석 결과, 불안정성애착 유형 중 회피 특성을 보이는 해양경찰에게서 높은 스마트폰 중독경향성을 확인하였다. 회피애착 유형의 해양경찰은 타인과의 정서적 교류를 대신할 대안으로 스마트폰을 선택하며, 이러한 경향이 지속될 경우 스마트폰 중독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커진다. 특히, 회피애착 유형의 사람들은 가까운 타인과의 관계마저도 불편하게 여기고 이를 회피하고자 하기 때문에 직접적인 상호작용보다 스마트폰과 같은 간접적이고 비대면적인 매체를 선호할 수 있다. 즉, 스마트폰은 사용자에게 관계에서 비롯되는 정서적 부담을 안기지 않는다는 점에서 회피애착 유형의 해양경찰에게 하나의 안식처로 인식될 수 있다. 또한, 회피애착 성향을 가진 사람들은 일상에서 발생하는 부정적 감정을 스마트폰을 통해 해소하려는 특징을 보인다. 스마트폰 사용으로부터 업무 및 조직으로부터 발생한 스트레스를 분산한다면, 회피애착 유형의 해양경찰에게 스마트폰은 일종의 도피처로 인식될 수 있다.

    불안정성인애착과 같은 정서적인 문제로부터 스마트폰 중독이 만연하여 해양경찰 조직의 업무 능력 저하로 이어지지 않게 하기 위해서는 제도적 보완책이 마련될 필요가 있다. 먼저, 해양경찰 조직 내 상명하복 중심의 위계적 소통구조를 완화할 필요가있다. 해양경찰 업무와 관련된 문제를 조직 내에서 소통을 기반으로 해결할수 있는 개방적 환경이 조성되어야 한다.특히, 팀단위의 개방적 소통 문화 조성을 바탕으로 가까운 직장 동료와의 원활한 상호작용을 장려해야 한다.

    불안정성인애착 문제와 스마트폰 중독 증상을 보이는 해양경찰에게는 인지행동치료에 근거한 치료를 장려해야 한다. 특히, 불안정성인애착 문제는 개인의 인지심리에 기반한 증상으로서 행동의 변화를 촉구하기 위해서는 인지 기반 치료가 필수적이다. 팀 단위로 심리적 상태를 정기적으로 점검하고, 불안정성인애착 문제를 보이는 해양경찰을 조기에 발견할 수 있다면 이와 같은 인지적 문제에 관한 근원적인 해결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의 한계는 다음과 같다. 해양경찰의 스마트폰 중독에 관한 선행연구가 많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어 변수 간의 관계에 대해 이론적 논의가 이루어지기 어렵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연구는 해양경찰의 스마트폰 중독 문제를 탐구하는 데 있어 초석이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한다.

    또한, 해양경찰 조직이라는 특수 집단에 대한 데이터 수집을 통해 현실적 문제를 조명하려는 노력을 전개하였으나, 작은 표본 크기에서 비롯된 통계 추정의 오류 가능성도 존재한다. 이는 해당 연구 결과의 일반화 가능성에는 한계가 있음을 의미하며, 분석 결과에 대한 주의 깊은 해석이 필요하다는 점을 의미한다. 이후의 연구들이 더 큰 해양 경찰 표본을 대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면 해양경찰의 건설적인 조직 운영을 위한 구체적인 제언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Figure

    KOSOMES-31-1-130_F1.gif

    Theoretical Model.

    Table

    Composition of the questionaire

    Descriptive statistics of sample (N = 171)

    Results of reliability analyses

    Results of reliability analyses

    * The correlation coefficient is significant at the 0.05 level (both sides)
    ** The correlation coefficient is significant at the 0.01 level (both sides)

    Analysis of the Effects of Insecure Attachment on Forbidden

    Analysis of the Effects of Insecure Attachment on a Daily Disability

    Analysis of the Effects of Insecure Attachment on Tolerance

    Reference

    1. Ahn, S. Y. ( 2018), A Literature Review on Adolescents' Addiction (Master's thesis). Korea University, Seoul, South Korea.
    2. Bowlby, J. ( 1958), Can I leave my baby?. London: National Association for Mental Health.
    3. Brennan K. A., C. L. Clark, and P. R. Shaver ( 1998), Self-report measurement of adult attachment. In J. A. Simpson & W. S. Rholes (Eds.), Attachment theory and close relationships, pp. 46-76.
    4. Cassidy, J., P. R. Shaver, M. Mikulincer, and S. Lavy ( 2009), Experimentally induced security influences responses to psychological pain. Journal of Social and Clinical Psychology, Vol. 28, No. 4, pp. 463-478.
    5. Eom, Y. J. and B. D. Lee ( 2019), The Effect of Work-Life Balance on Depression and Anxiety in Maritime Police Officers: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Resilience. Korean Association of Maritime Police Science, Vol. 9, No. 1, pp. 61-85.
    6. Chang, M., H. Cho, and H. Moon ( 2020), The Mediating Effect of Egocentrism and Fear of Alien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secure Attachment and SNS Addiction Tendency in Married Women,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Vol. 20, No. 6, pp. 1143-1172.
    7. Choi, A. R. and H. S. Kim ( 2021), The Moderating Effect of Family Functioning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s' Temperament and Smartphone Addiction, Family and Family Therapy, Vol. 29, No. 2, pp. 343-358.
    8. Choi, Y. Y. and Y. S. Seo ( 2015), The Relationship Between Insecure Attachment and Smartphone Addiction: The Mediating Effect of Impulsivity Moderated by Social Support,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Vol. 27, No. 3, pp. 749-772.
    9. Fraley, R. C., N. G. Waller, and K. A. Brennan ( 2000), An item response theory analysis of self-report measures of adult attachmen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 78, pp. 350-365.
    10. Flores, P. J. ( 2004), Addiction as an attachment disorder. Jason Aronson.
    11. Griffiths, M. ( 2005), A ‘components’ model of addiction within a biopsychosocial framework. Journal of Substance use, Vol. 10, No. 4, pp. 191-197.
    12. Jin, M. R. ( 2016), The Effect of Attachment Trauma, Self-Esteem, Depression, and Self-Control on Smartphone Addiction in Adolescents (Master's thesis). Handong Global University Graduate School, Gyeongsangbuk-do, South Korea.
    13. Kim, E. Y. and S. W. Han ( 2023), The Effect of Objective Social Isolation on Depression Among College Student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Resilience. Journal of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24, No. 4, pp. 195-204.
    14. Kim, J. G. ( 2017), The Effect of Job Characteristics on Self-Efficacy in Maritime Police Officers. Korean terrorism studies Review, Vol. 10, No. 4, pp. 171-187.
    15. Kim, J. S. and S. W. Hwang ( 2012), Diagnosis and Analysis of the Organizational Culture of the Maritime Police. The Police Science Journal, Vol. 7, No. 2, pp. 495-510.
    16. Kim, J. S. ( 2023),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Sports Club Participation, Self-Control, and Smartphone Addiction. KOREAN SOCIETY OF SPORT AND LEISURE STUDIES, Vol. 94, 341–353.
    17. Kim, S. H. ( 2004), Validation Study of the Revised Experiences in Close Relationships Scale: Focusing on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Item Response Theory, Seoul National University Master thesis.
    18. Kim, S. H. ( 2024), The Impact of Organizational Factors on Public Service Motivation among Maritime Police Officers, Korean Association of Maritime Police Science, Vol. 14, No. 3, pp. 47-64.
    19. Korea Information Society Agency ( 2011), Development of a Smartphone Addiction Scale.
    20. Lee, B. D., C. H. Lee, and J. S. Moon ( 2014), The Effect of Perceived Job Risk on Depression in Maritime Police Officers: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Stress Vulnerability, Korean Association of Maritime Police Science, Vol. 4, No. 1, pp. 61-77.
    21. Lee, J. W. and G. H. Lee ( 2014), The Relationship Between Adult Attachment and Career Decision-Making Problems in College Students: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Difficulties, The Korean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Vol. 11, No. 1, pp. 55-87.
    22. Lee, S. S. and S. J. Kim ( 2023), The Relationship Between Insecure Adult Attachment and Depression: The Mediating Effect of Internalized Shame and Mentalization,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Vol. 23, No. 10, pp. 199-214.
    23. Ministry of Science and ICT &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NIA) ( 2023), 2023 Internet Usage Survey. Republic of Korea.
    24. Moon, D. S. and E. S. Choi ( 2015), The Effect of Parental Rearing Attitudes on Adolescent Smartphone Addiction: The Mediating Effect of Adolescent Self-Esteem,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Vol. 22, No. 10, pp. 213-236.
    25. Park, Y. J. and N. W. Jung ( 2013), The Effect of Implicit Narcissism on Social Interaction Anxiety: The Mediating Effect of Evaluation Concern Perfectionism. Understanding of Human, Vol. 34, No. 1, pp. 55-74.
    26. Park, Y. J. and Y. H. Lee ( 2010), The Effect of Anxiety Attachment and Avoidant Attachment on Interpersonal Problems: The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Coping Style.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Vol. 29, No. 2, pp. 441-452.
    27. Shaver, P. and C. Hazan ( 1987), Being lonely, falling in love. Journal of Social Behavior and Personality, Vol. 2, No. 2, pp. 5-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