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서 론
국내 대기질 수준이 전 세계 180개국 중 173위이며, 초 미 세먼지 농도는 세계 8위가 됨에 따라 2017년 05월 새 정부 출범 시 미세먼지문제 해결을 최우선 과제로 선정하였고, 국내 미세먼지 배출량을 2022년까지 30 % 저감하겠다는 목 표를 설립하였다(Ministry of Environment, 2017). 설립된 목표 를 만족하기 위하여 미세먼지 4대 핵심 배출원을 선정하였 으며, 그중 수송 분야의 경우 노후 경유차 퇴출, 친환경차 보급 확대, 선박 및 건설기계 관리 강화 등의 강력한 감축방 안을 마련하였다(Ministry of Environment, 2017). 수송 분야의 비도로 오염원 중 선박의 경우 배출 기여도가 45.6 %로 매우 높아, 정부에서는 선박용 미세먼지저감 장치의 개발 및 상 용화를 추진하고 있다(Ministry of Environment, 2017). 미세먼 지저감 장치는 직접배출 미세먼지의 저감을 위한 매연여과 장치(DPF; diesel particulate filter)와 간접배출 미세먼지의 저감 을 위한 디젤산화촉매(DOC; diesel oxidation catalyst), 그리고 선택적 환원촉매(SCR; selective catalytic reduction) 등으로 구 성되어 있다.
현재, 선박분야에서는 미세먼지저감 장치에 대한 기술 개 발 및 상용화 기간을 단축시키고자 일반 디젤 차량에서 개 발된 미세먼지저감 장치의 적용을 위해 노력하고 있으나 일 반 차량과 운행 조건, 연료의 황 함유량, 미세먼지의 배출 특성 등이 매우 상이하다. 따라서 선박의 미세먼지 배출 특 성에 적합하도록 기초 연구 및 상용화 연구를 진행하고 있 다. Lee et al.(2018)은 직접배출 미세먼지저감 장치인 매연저 감 장치의 재생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미세먼지를 매연저감 장치에 포집한 후 연료 첨가제를 적용하여 각각의 첨가제 별 재생 특성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An et al.(2018)의 연구에 서는 황 함유량이 높은 선박 운항 조건에 적합한 선택적환 원촉매(SCR) 장치를 개발하기 위하여 전구체(precursor) 별로 SCR 촉매를 개발하였으며 개발된 촉매의 질소산화물(NOx : Nitrogen oxygen) 저감 성능을 측정하였다.
선박용 디젤엔진의 미세먼지저감 장치용 촉매 자체의 성 능 향상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었으나 미세먼 지저감 장치의 성능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는 유동균일 도 및 압력 강하에 대한 연구는 매우 미미한 수준이다. 일반 적으로 다공판과 믹서를 적용하여 미세먼지저감 장치의 유 동균일도를 향상시킬 경우 촉매의 성능은 향상되지만 시스 템의 배압 상승은 필수적으로 발생된다. 하지만 선박용 미 세먼지저감 장치의 압력강하 요구 정도는 제조사의 요구에 따라 결정되므로(MEPC. 132(53), 2016) 일반적으로 그 수준은 매우 낮다. 따라서 유동 균일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압력강 하가 반드시 고려되어야 하므로 다공판과 믹서의 최적 형상 설계와 위치 선정이 매우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수치해석을 이용하여 선박용 디젤엔 진의 미세먼지저감 장치 내에 설치된 믹서와 다공판의 형상 및 위치에 따른 미세먼지저감 장치의 유동균일도 및 압력 강하 정도를 고찰하고자 한다.
2. 해석 방법
2.1 해석모델
선박용 디젤 엔진의 미세먼지저감 장치에 다공판 및 믹서 의 형상과 설치위치에 따른 유동균일도 및 압력 강하의 변 화를 분석하기 위하여 Fig. 1과 같이 미세먼지저감 장치를 설계하였다. 그리고 Fig. 2와 같이 다공판과 믹서를 설계하였 으며 미세먼지저감 장치의 다공판 및 믹서의 형상과 배치에 따른 유동균일도 및 압력강하를 분석하기 위하여 Fig. 3과 같이 다공판과 믹서를 조합하였다. 유동해석 시 Fig. 1에서 표기된 CAT 1 ~ 4의 Porosity가 압력강하에 미치는 영향이 매 우 높아 유동해석 시 Porosity 값은 Case에 무관하게 촉매 별 로 일정하게 지정하였다. 다공판 및 믹서의 조합 방식에 대 해서는 Table 1과 같이 선정하였으며 Case 별 유동균일도 및 압력강하는 상용해석 코드인 AVL社의 FIRE-M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Table 1에 기재된 6개의 사양에 대한 설계 수치 들은 본 연구에 매우 중요한 변수들이다. 하지만 각 사양에 대하여 설계 업체의 지적재산권과 관련되어 있어, 본 연구 에서는 기재하지 않았다.
2.2 유동해석을 위한 격자 형성
차량용 미세먼지저감 장치에 유동장 분석을 위한 격자 크 기를 선박용 미세먼지저감 장치에 적용할 경우 격자 개수가 수천만 개 이상 형성되어 적절한 계산 시간을 확보할 수가 없다. 따라서 선박용에 적합한 격자크기 선정이 매우 중요 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선박용 미세먼지저감 장치의 유 동장 분석을 위한 격자를 형성하기 위하여 FIRE-M의 Auto meshing 기능을 적용하였으며, 유동의 흐름이 복잡한 믹서, 다공판, 촉매 부분에는 격자 조밀도를 차량용 미세먼지저감 장치 수준까지 높여 해석의 정확도를 높였으며, 또한 계산 시간도 줄일 수 있었다.
2.3 지배방정식
선박용 디젤엔진의 미세먼지저감 장치의 유동균일도 및 압력강하 해석을 위하여 아래와 같이 Conservation low와 Momentum equation, 그리고 Energy equation을 식(1) ~ (3)과 같 이 적용하였다(AVL, 2019).
여기서, 은 Corresponding property(per unit mass), 는 유 체의 밀도, Uj는 격자 j 에서의 속도를 의미한다.
여기서, 는 유체의 밀도, 은 유속, gi 는 중력가속도, 는 압력, μ 는 점성계수, 그리고 δij 는 Unit tensor를 의미한다.
여기서, 는 엔탈피, 은 전단응력, λ 는 Heat conductance, 는 압력, μ 는 점성계수, 그리고 는 온도를 의미한다.
2.4 경계조건
유동균일도와 압력강하 분석을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연 안 소형선박에 장착되어 있는 420PS 급 엔진을 적용 대상으 로 선정하였다. 대상 엔진에 대한 자세한 사양은 Table 2에 서 보여준다. 유동균일도 및 압력강하 분석을 위해 Table 3 과 같이 대상엔진의 ISO8178의 E3 모드의 시험 값 중 배압이 가장 높을 것으로 예상되는 모드 1의 유량과 온도 값을 적 용하여 유동균일도 및 압력강하를 해석하였다.
2.5 성능지수
다공판과 믹서적용에 따른 유동균일도 분석을 위하여 Uniformity index를 식(4)와 같이 계산하였다(AVL, 2019).
여기서, γ 는 Uniformity index, n 은 속도분포단면에 분포 되는 총 격자의 개수, Ai 는 격자 i 의 단면적, ui 는 격자 i 에 서의 유속, 그리고 를 의미한다.
압력강하 분석을 위해서 식(5)와 같이 입구압력과 출구 압 력의 차를 이용하였다.
여기서, P은 압력, in은 Inlet, out은 Outlet을 의미한다.
3. 결과 및 고찰
3.1 Case 별 압력강하
Table 3에서 제시한 Case 별 압력강하 분석 결과를 Fig. 4 에서 볼 수 있다. Case 1 ~ 4의 경우 압력강하가 20 mbar 수준 으로 매우 낮으며 Case 5의 경우 69.87 mbar, Case 6의 경우 59.96 mbar로 Case 1 ~ 4 비해 Case 5, 6이 압력강하 정도가 높 음을 알 수 있다.
Case 1, 2, 5를 통해 다공판의 형상 및 배치에 대한 압력강 하 정도를 비교할 수 있다. 다공판 형상과 배치가 제일 복잡 한 Case 5의 경우 69.87 mbar로 압력강하가 계산되었으며, Case 1과 2의 경우 압력강하가 각각 20.10 mbar, 19.08 mbar로 다공판 형상 및 배치는 압력강하에 미치는 영향이 높음을 알 수 있다.
Case 1과 3 및 4의 압력강하를 비교하여 믹서의 유무에 따른 압력강하 정도를 비교할 수 있다. Case 1과 3을 비교할 경우 압 력강하는 0.68 mbar이며, Case 1과 4를 비교할 경우 1.02 mbar로 Straight perforated plate 와 믹서의 장착은 선박용 미세먼지저 감 장치의 배압에는 크게 영향을 끼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Case 5와 6을 비교해 보면, 다공판의 배치에 대하여 압력 강하 분석이 가능하며 그 수치는 9.91 mbar로 다공판의 배치 도 압력강하에 매우 높은 영향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Figs. 5 ~ 10은 각 Case별 압력강하분포 결과를 보여주고 있 다. Straight type perforated plate를 적용한 Case 1과 4의 경우 Cone 이후에 배치되는 벽면에 압력분포가 집중되는 것을 확 인할 수 있다. 이것은 Straight type 형상의 특성상 한 방향으 로만 유동을 배분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Mesh type perforated plate를 적용한 Case 2와 Perforated type을 적용한 Case 5, 6에는 이러한 현상이 발생되지 않았다.
3.2 Case 별 유동분포
Table 1에서 제시한 Case 별 유동 분포를 Figs. 11 ~ 16에 도 시하였다. Case 1, 2, 5를 통해 다공판의 형상 및 배치에 대한 유동분포 정도를 정성적으로 분석할 수 있다. 다공판 형상과 배치가 제일 복잡한 Case 5의 경우 Case 1과 2에 비교하였을 때 유동이 안정적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Case 1, 2, 3의 비교 를 통해 Perforated plate 장착 여부에 따른 유동분포 결과를 정 성적으로 분석이 가능하다. Perforated plate(Straight type, Mesh type)와 믹서가 장착되어 있을 경우가 믹서만 장착된 경우보 다 유동분포가 중앙에 집중하지 않고 넓게 분포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Case 1과 3, 4의 결과 분석을 통해 믹서의 유 무에 따른 유동분포를 정성적으로 파악이 가능하다. Case 1과 3을 비교할 경우 유동이 Case 3에서 중앙으로 몰리는 경향이 더 높게 나오고 있으며, Case 1, 4를 비교할 경우 유사한 유동 패턴을 보이는 것으로 보아, 유동균일도 향상을 위해서는 믹 서는 큰 의미가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Case 5와 6을 보았을 때 다공판의 배치에 대한 유동분포 분석이 정성적으로 가능 하다. Case 6의 경우 Case 5에 비해 다공판이 1개가 부족함에 도 불구하고, 유동 분포는 Case 5와 유사하게 분포하고 있음 을 알 수 있다. Case 1과 4의 경우 모두 벽면에 유동이 집중되 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압력분포 결과와 마찬가지로 Straight type 다공판 형상의 특성 상, 한 방향으로만 유동을 배분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Mesh type perforated plate를 적용한 Case 2의 경우는 중앙으로 유동이 집중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Mesh type의 경우 유동을 배분하는 hole 의 직경이 일반적인 다공판에 비해 너무 커서 유동이 적절히 배분되지 못하고 집중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Perforated type을 적 용한 Case 5와 6에는 이러한 현상이 발생되지 않았다.
3.3 Case 별 유동균일도
Table 1에서 제시한 Case 별 유동균일도 분석 결과를 Fig. 17 에 도시하였다. 유동균일도 분석은 식(4)에서 정의한 Uniformity index를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유동균일도는 모든 Case에서 90 % 이상으로 높게 분석이 되었으나, 좀 더 면밀한 분석을 위하여 CAT 1의 표면에의 속도 분포를 분석하였다. Fig. 18 은 각 Case 별로 CAT 1의 표면에서의 유동분포를 보여주고 있다. Case 1 ~ 4의 CAT 1 표면의 속도 분포를 보여주고 있는 Fig. 18(a) ~ (d)의 결과를 통해 계산된 유동균일도 값은 높으 나 유속의 분포가 매우 불안정함을 알 수 있다. Case 5와 6의 CAT 1 표면에서의 속도 분포를 도시하고 있는 Fig. 18의 (e), (f)의 결과를 통해 Perforated type을 적용하였을 때 다른 Case 에 비해 양호한 유동분포를 확보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 었다.
4. 결 론
본 연구에서는 설계된 선박용 미세먼지저감 장치 내에 다 공판과 믹서의 형상 및 배치가 압력강하 및 유동 균일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분석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연구 결 과를 얻을 수 있었다.
-
(1) 압력강하는 Straight type 다공판이 장착된 Case 4가 19.08 mbar로 제일 낮았으며, Perforated type 다공판 3개가 장 착된 Case 5가 69.87 mbar로 제일 높았다.
-
(2) 유동균일도의 경우, 믹서만 장착된 Case 3이 90.90 %로 가장 낮았으며 Perforated type 다공판 2개가 장착된 Case 6이 99.38 %로 제일 높았다.
-
(3) 각 Case 별 압력강하 및 유동균일도 분석 결과를 조합해 볼 경우 배압이 59.96 mbar이며 유동균일도가 99.38 %인 Case 6(Perforated type 다공판 2개 적용 사양)이 설계된 선박용 미 세먼지 저감 장치에 가장 적합한 사양으로 사료된다.
-
(4) 유동균일도가 높고 압력 강하가 낮은 Case 6을 적용할 경우, 장착된 CAT 1 ~ 4의 촉매 성능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이를 통해 높은 효율의 미세먼지 저감 장치 설계 가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