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서 론
연안습지는 만조시에 수위선과 지면이 접하는 경계선으로 부터 간조시에 수위선과 지면이 접하는 경계선까지의 지역 으로(MOE, 2008), 해양생물의 서식 및 생산, 수질정화, 친수 및 자연재해 조절기능 등을 가지고 있으며, 연안 생태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Park, 1999; Shin and Kim, 2007).
한편, 연안습지에 분포하는 식생들은 연안습지의 기능 및 형태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인자이다(Rupprecht et al., 2015). 또한, 식생군락은 해양생물의 서식처와 먹이제공처로서 중 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으며, 오염줄질의 흡착, 퇴적작용 촉진 및 지형형성에도 직·간접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Duarte et al., 2013; Gedan et al., 2011; Möller et al., 2014).
한편, 갈대는 연안습지의 대표적인 식물종으로 염습지에 서 상대적으로 높은 생산성을 보이며, 영양 물질순환에 핵 심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Meyerson et al., 2000; Windham, 2001). 또한 다양한 오염물질의 정화, 주변의 환경적 압력요인을 감소시키는 완충지로서의 역할 등 생태 계에서의 긍정적인 기능을 담당하고 있다(U.S. EPA, 1988; Findlay et al., 2003).
최근 연안습지의 개발에 따른 갈대군락의 면적 감소로 인 해 갈대의 보전 및 복원을 위한 연구가 활발히 수행되고 있 다(Schmieder et al., 2004). 한편, 갈대의 과도한 확장으로 인한 종 다양성 저해로 제거가 필요한 지역도 발생하고 있어 (Meyerson et al., 2000), 갈대군락에 대한 전반적인 연구의 필 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기존의 갈대에 대한 연구는 주로 분포 특성이나 생산성 (Lee and Kim, 1976; Lee and Yang, 1993; Min and Kim, 1999)에 대한 연구가 주로 수행되었으며, 최근 갈대 생육에 미치는 인자인 저질의 염도(Min, 2011), 수위(Vretare et al., 2001), 이 화학적 특성에 대한 연구(Ryu, 2014 ; Ryu, 2016)가 수행되고 있으나 갈대군락의 영양염 거동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 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갈대군락의 영양염 물질수지 모델 구축을 위한 기초연구로, 춘계 및 하계에 Mesocosm 실험을 통해 수층-갈대-토양의 영양염(DIN, DIP) 농도를 조사하고, 이를 이용하여 갈대군락 내 영양염 물질수지를 산정하였다.
2. 재료 및 방법
2.1 Mesocosm 실험
2.1.1 실험개요
1) Mesocosm 시설
Mesocosm 시설은 갈대와 토양을 이식한 4개의 실험구 Tank (70 cm(L) × 70 cm(W) × 70 cm(H))와 해수저장 Tank 1개, 펌프, 타이머, 솔레노이드 벨브로 구성하였다(Fig. 1).
자연상태와 같은 빛의 세기와 광량이 유입되고, 강수량 유입으로 인한 간섭을 차단하기 위해 지붕은 철근 구조물에 비닐을 씌워 야외 테라스에 설치하였다.
본 실험에서 사용된 Mesocosm Tank는 0.49 m2로 작은 크기 에 속하나, Philson and Nixon(1980)과 Ruth et al.(1994)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소규모로 지어진 Mesocosm의 실험결과와 대 규모로 지어진 Mesocosm의 결과상의 큰 오차는 발생하지 않 는 것으로 나타났다.
2) 토양 및 갈대 이식
2016년 6월 중순 낙동강하구 진우도 배후면에 위치한 갈대 군락지에서 생육상태가 가장 양호한 곳의 토양을 깊이 50 cm 까지 파서 채취하였다. 최대한 교란을 피하기 위해 70 cm(L) × 70 cm(W) × 70 cm(H)의 플라스틱 용기를 이용하여 실험실 로 운반 후 Mesocosm Tank에 채웠다.
토양의 깊이는 갈대 생육의 영양염 순환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연안의 토양 내 생지화학적 반응과 저층 플럭 스 등에 대해 30 ~ 40 cm 범위를 적용한 사례들(Barbanti et al., 1992; Lansard et al., 2003)을 근거로, 실험구 Tank의 토양 두께 는 40 cm로 설정하였다.
한편, 실험에 사용된 갈대는 2015년 10월 낙동강 하구 진 우도 배후면의 갈대군락에서 종자를 채취하여 실험실로 옮 겨 건조한 뒤 2016년 봄에 발아를 진행하였다. 2017년 4월 10일에 실험을 위한 갈대 선별을 진행하였으며, 총 20개의 지상부를 포함하여 30 cm 전후의 갈대를 선별하여 각각의 Mesocosm Tank에 이식하였다.
3) 토양 및 갈대군락의 안정화
현장에서 채취한 토양의 이식 과정에서 상하 교란이 발생 하였다. 이에 Mesocosm Tank의 퇴적물을 자연상태와 같이 정상적으로 안정화하기 위해 일주일 동안 6시간씩 해수순환 을 통해 퇴적물이 다져지도록 하였고, 갈대 또한 뿌리를 내 릴 수 있도록 하였다. 3주 후 갈대가 성장하기 시작한 것을 확인하여 새로운 환경에 적응한 것으로 판단하였다(Fig. 2).
2.1.2 실험방법
진우도 배후면 갈대군락지의 해양물리 조건을 고려하여, 24시간 동안 2회의 고조와 저조를 재현하였으며, 조위 변동 에 따른 침수시간 및 높이를 Table 1과 같이 설정하였다.
침수 높이는 진우도 배후면 식생대 영역에서 해안선의 해 수면 변동에 따른 침수 및 높이를 반영하였다.
2.2 시료분석 및 측정
Mesocosm Tank에서 수층-식생(지상경:줄기+잎, 지하경:뿌 리)-토양에서의 춘계와 하계 영양염 물질수지 산정을 위해 각 층에서의 영양염 농도(DIN, DIP)를 측정하였다(Fig. 3).
또한, 춘계 및 하계의 갈대의 생체량 및 성장 속도를 산정 하였다.
1) 수질 분석
수질 분석을 위해 주 2회 샘플링을 실시하였고, 시료 채취 시점은 만조위에서 간조위, 그리고 간조위에서 만조위로 각 각 조석이 바뀌기 30분 전에 Mesocosm Tank의 최대한 중앙 지점에 가까운 수층 표면에서 채수하였다.
수질 분석 항목은 수온, 염분, DO, DIN(NOX-N, NH4-N), DIP(PO4-P)이다. 수온 및 염분은 ALEC사의 CT계를 이용하였 고, DO는 DO meter(YSI Model 5100)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영양염 분석용 시료는 1ℓ 용량의 폴리에틸렌 채수병에 담아 GF/C 필터링 후 해양환경공정시험기준(MLTM, 2010)에 의거하여 분석하였다.
2) 토양 분석
Mesocosm Tank 표층 20 cm 이내에서 코어 샘플러를 이용 하여 일주일에 2회 간조시에 실시하였으며, 1회당 50 g을 채 취하여, 원심관(50 ml)에 채운 후, 원심분리(3000 rpm, 20 min) 하여 간극수를 추출하였다. 추출한 간극수는 0.45 μm syringe 필터(Millex, Millipore)로 필터링 후 해양환경공정시험기준 (MLTM, 2010)에 의거하여 DIN(NOX-N, NH4-N), DIP(PO4-P)을 분석하였다.
3) 갈대 분석
갈대가 뿌리, 줄기, 잎으로부터 흡수하는 DIN, DIP 농도를 측정하기 위해 일주일에 1회 5개체씩 채집하여 완전 건조 후 건중량을 측정한 후, 원심분리하여 간극수를 추출하였다.
추출한 간극수는 0.45 μm syringe 필터로 필터링 후 해양환 경공정시험기준(MLTM, 2010)에 의거하여 DIN(NOX-N, NH4-N), DIP(PO4-P) 농도를 분석하였다. 한편, 갈대의 생체량 및 성장 속도는 춘계와 하계의 실험초기 갈대 생체량 및 높이를 15 일 후 생체량 및 갈대 높이와 비교하여 산정하였다.
2.3 영양염 물질수지 산정
앞서 측정한 수질, 갈대, 저질의 영양염(DIN, DIP)의 농도 결과를 이용하여 춘계와 하계의 Mesocosm Tank내의 수층-식 생(갈대)-저질간의 영양염 물질수지를 산정하였다.
영양염 물질수지는 정상상태()로 가정 후, 식(1)을 사용하여 산정하였다.
여기서, DIX : DIN 및 DIP 농도, DIXin : 유입해수의 DIX 농도, DIXpore : 토양 내 간극수의 DIX 농도, DIXroot : 갈대 뿌 리의 DIX 농도, DIXs/l : 갈대 줄기와 잎의 DIX 농도, DIXsw : Mesocosm Tank내 해수의 DIX 농도, DIXout : Mesocos Tank의 유출 해수의 DIX 농도, DIXreed : DIXs/l + DIXroot.
3. 결과 및 고찰
3.1 Mesocosm 실험결과
Mesocosm Tank 내 수층-식생-토양-갈대의 수온, 염분, DO 및 영양염(DIN, DIP) 농도의 계절별(춘계 및 하계) 모니터링 결과는 Table 2와 같으며 Table 3, 4는 계절별(춘계 및 하계) 갈대 생체량 및 성장속도를 나타낸다.
3.1.1 모니터링 결과
(1) 수온 및 염분
Mesocosm Tank에서의 해수의 수온은 춘계에 13.2(Tank D) ~ 15.4(Tank A)℃, 하계에는 15.2(Tank D) ~ 18.5(Tank A)℃ 로 하 계에 높게 나타으며, 염분은 춘계에 31.9(Tank B) ~ 32.8(Tank C) PSU, 하계는 30.6(Tank D) ~ 31.6(Tank A) PSU의 범위로 나 타났다.
(2) 용존산소(DO)
Mesocosm Tank내 해수의 DO 농도는 춘계에 6.8(Tank D) ~ 14.0(Tank A) mg/L, 하계는 5.8(Tank D) ~ 12.0(Tank A) mg/L, 토 양의 DO 농도는 춘계에 2.3(Tank D) ~ 3.9(Tank B) mg/L, 하계 는 2.9(Tank C) ~ 3.3(Tank A) mg/L 범위로 나타났다.
(3) 용존무기질소(DIN)
Mesocosm Tank 내 해수의 DIN 농도는 춘계에는 0.555(Tank C) ~ 1.325(Tank B)mg/L, 하계에는 0.605(Tank C) ~ 1.202(Tank A) mg/L 범위로 나타났다.
토양의 DIN 농도는 춘계 0.872(Tank D) ~ 1.292(Tank A) mg/L, 하계 0.866(Tank D) ~ 1.391(Tank A) mg/L 범위로 나타났다.
갈대의 DIN 농도는 춘계에 0.598(Tank D) ~ 0.658(Tank A)mg/L 범위로 나타났으며, 하계에는 0.998(Tank D) ~ 1.056(Tank A) mg/L로 춘계에 비해 약 2배 정도 높게 나타났다.
(4) 용존무기인(DIP)
Mesocosm Tank 내 해수의 DIP 농도는 춘계에는 0.034(Tank A) ~ 0.041(Tank D) mg/L, 하계에는 0.036(Tank C) ~ 0.073(Tank A) mg/L 범위로 나타났다.
토양의 DIP 농도는 춘계 0.044(Tank D) ~ 0.065(Tank A) mg/L, 하계 0.043(Tank D) ~ 0.070(Tank A) mg/L 범위로 나타났다.
갈대의 DIP 농도는 춘계에 0.030(Tank D) ~ 0.033(Tank A)mg/L 범위로 나타났으며, 하계에는 0.051(Tank D) ~ 0.053(Tank A) mg/L로 춘계에 비해 약 2배 정도 높게 나타났으며, DIN 농도 에 비해 Mesocosm Tank 별 차이는 크지 않았다.
3.1.2 갈대의 생체량 및 성장속도
염습지 내 갈대 생육에 가장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환 경 인자는 화학적 인자로서의 영양염 및 염도, 물리적 인자 로는 수위를 들 수 있다(Hellings and Gallagher, 1992).
갈대의 지상경과 지하경의 계절별 생체량 및 성장속도 결 과를 살펴보면, 춘계에는 지하경의 생체량(0.43 ~ 0.51 g/m2)이 지상경(0.37 ~ 0.48 g/m2)보다 높으며, 성장속도 또한 지하경 (0.003 ~ 0.007 DW g/m2/day)이 지상경(0.002 ~ 0.005 DW g/m2/day) 보다 높았다. 한편, 하계에는 지상경의 생체량(0.61 ~ 0.66 g/m2) 이 지하경(0.52 ~ 0.56 g/m2)보다 높았으며, 성장속도 또한 지상 경(0.004 ~ 0.009DW g/m2/day)이 지하경(0.003 ~ 0.006DW g/m2/day) 보다 높았다.
일반적으로 갈대의 생체량은 성장이 시작되는 춘계에는 지하경이 지상경보다 높으며, 갈대의 생육밀도가 가장 높게 나타나는 하계에는 지상경이 지하경보다 높게 나타난다고 알려져 있다(Noh et al., 2002; Min, 2011).
또한, Mesocosm Tank 별 생체량 및 성장속도 결과를 살펴 보면, 침수시간 및 침수 높이가 증가할수록 생체량 및 성장 속도가 감소하였다.
이는 침수시간 및 높이의 증가로 인해 염분에 의한 노출 시간이 길어지고, 이로 인해 영양염의 흡수 능력을 저해하 기 때문이다. 한편, Wang et al.(2006)에 의하면 갈대는 침수환 경에서 생리적 신호 작용을 통한 통기조직 발달을 비롯한 생리적 적응 반응을 유도하여 생장을 촉진시킨다고 알려져 있으나, 본 실험에서는 이와 상반되는 결과가 나타났다. 이 는 같은 갈대개체군이라 할지라도 유전적 차이로 인해 동일 한 이화학적 환경에서 갈대생육의 차이가 발생하기 때문이 다(Koppitz, 1999; White et al., 2007).
3.2 영양염 물질수지 산정결과
Mesocosm Tank내의 수층-식생-토양의 영양염 물질수지 산 정 결과는 Fig. 4, 5와 같다.
3.2.1 춘계
춘계 각 Mesocosm Tank에서의 DIN, DIP 농도의 물질수지 결과를 살펴보면, 침수시간 및 높이에 따른 수층 및 저층의 DIN, DIP 농도는 차이가 거의 없었다.
갈대가 흡수하는 DIN 농도는 18(Mesocosm Tank D) ~ 21 (Mesocosm Tank A)%, DIP는 15(Mesocosm Tank D) ~ 18(Mesocosm Tank A) %로 정수조건인 Mesocosm Tank A에서 가장 높았고, 침수시간이 길어질수록 감소하였다.
이는 기본적으로 갈대의 성장에 있어 많은 양의 질소를 필요로 하는데(Windham and Meyerson, 2003) 침수시간의 증가 로 염분에 의한 노출도가 증가하여 질소 흡수 능력을 저하 시키기 때문이다.
3.2.2 하계
하계 각 Mesocosm Tank에서의 DIN, DIP 농도의 물질수지 결과를 살펴보면, 춘계와 마찬가지로 침수시간 및 높이에 따른 수층 및 저층의 DIN, DIP 농도 차이가 거의 없었으며, 토양의 DIN, DIP 농도는 춘계에 비해 약 5% 높게 나타났다.
갈대가 흡수하는 영양염 농도는 DIN은 23(Mesocosm Tank D) ~ 26(Mesocosm Tank A) %, DIP는 18(Mesocosm Tank D) ~ 22 (Mesocosm Tank A) %로 춘계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정수 조건인 Mesocosm Tank A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침수시 간이 길어질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다.
4. 결 론
본 연구에서는 갈대군락의 영양염 물질수지 모델구축을 위한 기초연구로, 춘계 및 하계에 Mesocosm 실험을 통해 수 층-갈대-토양의 영양염(DIN, DIP) 농도를 조사하고, 이를 이 용하여 갈대군락 내 영양염 물질수지를 산정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1) 갈대의 생체량은 춘계에는 지하경이 지상경에 비해 약 6.3 ~ 9.7 % 높으며, 하계에는 지상경이 지하경에 비해 약 19.2 ~ 21.2 % 높았다. 또한, 갈대의 성장속도는 Mesocosm Tank A가 Mesocosm Tank D에 비해 지상경과 지하경 모두 2 ~ 3배 정도 빠르게 나타났다.
-
2) Mesocosm Tank에서의 갈대의 영양염(DIN, DIP) 농도차 는 춘계와 하계 모두 각각 2 ~ 3%로 Mesocosm Tank별 차이가 적었다. 그러나, 침수시간이 길어질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 여, 염분에 의한 노출시간 증가로 인해 영양염의 흡수능력 을 저하시키며, 이에 따라 생체량 및 성장속도에 영향을 미 치는 것으로 보인다.
-
3) Mesocosm Tank별 생체량의 차이는 최대 23 %로 나타나 지만, 영양염 농도의 차이는 최대 3% 정도로 Tank 별 차이가 적었으며, 갈대의 성장에 있어 침수시간과 같은 물리적 요 인이 영양염 농도와 같은 화학적 인자보다 큰 영향을 미치 는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