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서 론
식물플랑크톤은 기초생산자로서 해양의 먹이사슬 구조에 영향을 미치며, 수소이온농도, 빛, 수온 등의 환경 변화에 따 라 종조성이 영향을 받는 등 수질 환경 지표생물로서도 중 요성이 크다(Buzzi, 2002; Rey et al., 2004). 식물플랑크톤 현존 량과 종조성은 시·공간적으로 큰 변동성을 가지며(Moon and Choi., 1991; Kim et al., 1998; Kwon et al., 2001), 특히 동해 연 안에서의 식물플랑크톤 군집구조의 계절적인 변동은 대마 난류의 지류인 동한난류의 북상과 남하하는 북한 한류의 영 향을 받으며, 이들 해류가 계절에 따라 연안으로 접안과 이 안함으로서 그 변동성이 크게 나타난다(Jang et al., 2013). 따 라서 동해에서 발생하는 식물플랑크톤의 대증식 양상은 같 은 연안 해역에서도 시기에 따라 차이가 크게 나타난다 (Yamada et al., 2004; Yoo and Kim, 2004).
동해안 식물플랑크톤에 관한 연구는 남·서해 연안에 비하 여 상대적으로 적은 연구가 수행되었지만, 다양한 분야에서 접근을 시도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수행되고 있다. 1980-1990 년대에는 식생연구나 군집 분포 특성, 생산력에 관한 연구 가 광범위한 해역에 걸쳐서 연구되어 왔으며(Shim and Lee, 1987; Lee and Shim, 1990; Lee et al., 1998; Shim et al., 1985; 1992; 1995), 식물플랑크톤의 크기별 분포와 특성에 관한 연 구(Cho 1985; Lee and Chang, 2014)도 다수 수행되었다. 최근 에는 색소체 분석을 활용하거나 인공위성 해색(Ocean Color) 관측 자료를 이용하여 동해 전역에 대한 식물플랑크톤 증식 의 원인 규명 등 첨단장비를 활용한 연구와 생태계 모델을 이용한 식물플랑크톤의 시·공간적인 변동에 관한 연구도 수 행되고 있다(Choi et al., 2004b; Kim et al., 2000; 2002; 2003). 특히 동해안 식물플랑크톤에 관한 연구는 냉수대 등 이상해 황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동해 남부연안의 식물플랑크톤 군 집 연구나(Shim et al., 1992; Oh et al., 2004; 2008; Kim et al., 2014a), 난·한류가 교차하는 전선역에서의 식물플랑크톤 군 집 연구(Park et al., 1991) 등에 집중되어 있다. 또한, 동해안 원전 주변 해역이나 동해 일부 항 등 국한된 해역의 식물플 랑크톤 군집에 관한 연구도 다수 이루어졌다(Choi et al., 2004a; 2004b; Kang and Choi, 2002; Kang et al., 2002; 2005). 그 러나 동해 전 연안에 대한 식물플랑크톤 군집에 관한 연구 결과는 다소 미흡한 실정이며, 계절별 환경요인과 식물플랑 크톤과의 상호관계를 이해하기에는 부족하다.
본 연구는 강원 거진에서 경북 감포에 이르는 동해 주요 연안의 수온(T)과 염분(S) 자료를 활용한 T-S도상의 식물플 랑크톤 우점종 분포 특성 등 계절별 식물플랑크톤 군집분포 특성과 물리·화학적 요인과의 상호관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2.재료 및 방법
본 연구는 동해 중부의 강원 거진에서 동해 남부의 경북 감포까지 동해 주요연안 18개 정점(E1-E18)에 대해 2009년 2 월부터 11월까지 연 4회(2, 5, 8, 11월) 조사를 실시하였다 (Fig. 1, Table 1). 조사 정점의 수온과 염분 특성은 국립수산 과학원 시험조사선 탐구 12호을 이용하여 CTD(SBE 19 plus) 로 측정하였으며, 화학적 요인 분석용 시료 채취는 표층과 저층에서 니스킨 채수기(Niskin sampler)를 이용하였다. 수질 분석은 해양환경공정시험방법(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2010)에 따라 측정하였다. pH는 선상에서 pH 측정기(Orion 5-STAR, Singapore)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투명도는 투명도판(Secchi-disk)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용존산 소(DO)는 선상에서 해수를 용존산소 병에 고정한 후 Winkler 법으로 분석하였다.
영양염(DIN(NH4-N, NO2-N, NO3-N의 합), DIP, SiO2-Si)은 현 장에서 여과지(Whatman GF/F)로 여과 후, 여과된 시료를 분석 시까지 냉동 보관하였으며, 영양염 자동분석기(Seal Analytical QuAAtro, Germany)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클로로필-a 농도 분석은 층별 해수 500 mL를 공경 0.45μm멤브레인 여과지 (Whattman 47mm)로 여과한 후 여과지를 10 mL의 90 % 아세톤 용액에 넣어 냉암소에서 24시간 색소를 추출한 후 그 상등액 을 형광분광광도계(Turner Designs 10AU, USA)로 분석하였다.
식물플랑크톤의 종조성과 정량분석은 니스킨 채수기를 이용하여 해수 1L를 채취 후, 루골(Lugol)액을 1-2 % 첨가하 여 고정시킨 후 실험실내에서 1-2일간 정치 후 20 mL로 농 축하여 검경하였으며, 밀도는 cells/L로 표시하였다. 종의 동 정은 Thomas(1997)와 Shim(1994) 등을 참고하여 광학현미경 (Zeiss Axiolab)으로 분석하였다.
물리·화학적 요인과 식물플랑크톤 군집간의 분석은 SPSS 패키지(version 12.0, SPSS Institute USA)을 이용하여 상관계수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를 구하였다. 수괴 특성에 따 른 정점별 우점종 변동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등밀도선상 에 수온(T)과 염분(S)의 T-S도를 작성하고, 식물플랑크톤의 월별 정점별 우점종과 현존량을 T-S도 상에 표시하여 분포 양상을 분석하였다. 식물플랑크톤의 공간적 분포 특성은 조 사시기와 정점별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유사도 분석(Similarity Analysis)인 Bray-Curtis 지수(Bray and Curtis, 1957)를 사용하였으 며, 그룹간 유사도 분포는 다원척도분석(MDS, multi- dimensional scaling)에 의한 2차원 공간에서 군집의 유사성을 파악하였다.
3.결과 및 고찰
3.1.물리·화학적 분포
동해안 정점 E1-E18에서 2009년 2월, 5월, 8월 및 11월에 조사한 계절별 표층의 수온, 염분, 영양염 등에 대한 물리·화학적 인자의 변동 범위와 평균 및 표준편차를 Table 2에 나타내었다.
조사기간 중 표층 수온은 6.07-26.59°C로서 2월 강원 북부 해역의 E1(거진)이 6.07°C로 가장 낮은 수온을 보였다. 염분 의 분포범위는 29.98-34.35로서 2월이 가장 높았고, 8월이 가 장 낮았다. 특히, 8월은 다른 조사월에 비해 정점별 변화가 뚜렷하여 E14(강구)에서 29.98로 가장 낮았고, 전반적으로 강 원연안보다 경북연안에서 낮아 32 이하의 분포범위를 보였 다. pH는 7.98-8.33로서 11월에 최소를 보였고 8월에 최대를 나타내었다. DO는 7.22-10.16mg/L로서 5월이 다소 높고 8월 이 낮았다.
투명도(Transparency depth)는 4.0-18.0 m로서 2월이 깊고 5월 이 얕았으며 전반적으로 비슷한 투명도 값을 보였다. 용존무 기질소(DIN)는 0.34-20.18 μM, 용존무기인(DIP)은 0.01-1.30 μM 및 규산규소(SiO2-Si)는 0.11-19.95 μM의 분포를 보였다(Fig. 2). DIN과 SiO2-Si는 전 연안 해역에서 2월에 가장 높았고 수 온이 상승하면서 8월에 연중 가장 낮은 농도를 보였다. DIP 는 2월과 8월이 비교적 높은 농도를 보였으며, DIN과 SiO2-Si 와 달리 8월에 높은 것은 하천수의 유입에 의한 것으로 보 인다.
클로로필-a는 0.01-4.38μg/L의 분포로서 8월에 가장 높았 고 11월에 가장 낮았다. 동해 남부연안 기초생산력에 대한 Shim et al.(1985, 1992)의 연구 결과에 의하면 표층에서 40 m 수심까지 클로로필-a 분포가 0.50-14.85 μg/L 정도의 분포로서 본 연구의 결과보다는 최대 농도를 기준으로 3배 정도, 최소 농도 기준으로는 5배 정도 높게 나타났다. 이처럼 본 연구에 서 클로로필-a 농도가 다른 연구 결과보다 낮은 것은 이화학 적인 성분 분석이 표층에 국한된 것에 기인한다.
3.2.식물플랑크톤의 현존량과 우점종 분포
동해안에서 계절별로 출현한 식물플랑크톤의 현존량과 우 점종을 Table 3과 Fig. 3에 각각 나타내었다. 월별 현존량 분 포는 2월에는 1.6×103-11.6×103 cells/L(평균 4.0×103 cells/L)로서 정점별 개체수의 공간분포 차이는 비교적 크지 않았으나, 강 원보다는 경북연안에서 상대적으로 개체수가 많았다. 5월에 는 2.6×103-246.6×103 cells/L(평균 53.1×103 cells/L)로 전체 조사 기간 중 가장 높은 현존량을 보였고, 이때 E12(후포)부터 E17(구룡포) 해역까지 Leptocylindrus danicus가 150×103 cells/L 이상의 상대적으로 높은 출현 개체수 분포를 보였다. 8월에는 3.6×103-65.3×103 cells/L(평균 25.2×103 cells/L)로서 E14(강구), E17(구룡포) 및 E18(감포) 해역에서 50×103 cells/L 이상의 상대적으로 높은 분포를 보였다. 8월은 5월보다 상대적인 현 존량은 적지만, E08(삼척), E10(죽변), E14(강구), E17(구룡포) 및 E18(감포)에서 30×103 cells/L 이상으로 다른 지역보다 높 게 나타났다. 11월에는 1.2×103-56.6×103 cells/L(평균 16.9×103 cells/L)로서 Cryptomonas sp.가 출현하지 않은 E14(축산) 이남 해역의 개체수가 매우 낮았으며, E01(거진)과 E06(강릉 옥계) 해역에서 다른 해역에 비해 높았다.
식물플랑크톤의 현존량은 1.2×103-246.6×103 cells/L(평균 24.8×103 cells/L) 분포로 정점별, 월별 개체수의 지역적인 차 이가 매우 크게 나타났으며, 강원연안(평균 12.6×103 cells/L) 에 비해서 경북연안(평균 40.0×103 cells/L)에서 높았다(Fig. 3). 월별로는 2월(평균 4.0×103 cells/L)이 가장 낮았고, 5월(평균 53.1×103 cells/L)이 가장 높았으며, 계절별 차이는 있으나 소 형 규조류가 식물플랑크톤의 전체 현존량 중 상당부분을 차 지하고 있었다. 동해연안은 동계에 형성된 깊은 혼합층내의 풍부한 영양염이 춘계에 일사량의 증가에 따른 혼합층의 감 소와 함께 임계수심(Critical depth) 내의 광합성 활동이 증가 하여 춘계 식물플랑크톤 대증식이 발생한다. 추계식물플랑 크톤의 대증식은 하계에 성층화된 수괴가 해면 냉각에 의해 성층이 파괴되면서 혼합층이 깊어지고, 성층의 파괴와 함께 표층 아래의 풍부한 영양염이 공급되면서 발생한다. 특히 Sverdrup(1953) 이론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혼합층이 깊어지 고 임계수심이 얕아지면서 이들이 중첩되는 시점에 추계 식 물플랑크톤 대증식이 발생한다(Kim et al., 2000; Kim et al., 2003; Yamada et al., 2004). 본 연구에서도 춘계(5월) 식물플랑 크톤의 현존량이 연중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E12(후 포), E13(축산), E13(강구) 및 E17(구룡포)는 100×103 cells/L 이 상을 보였으나, 본 연구에서의 식물플랑크톤의 현존량은 대 량발생 정도에 미치지 못하는 매우 낮은 수준이었다. 동해 안에 자주 출현하는 와편모조류는 Protoperidinium, Ceratium, Prorocentrum속으로 이들 속의 출현량이 전체 와편모조류의 출현량 중 54.8 %를 차지한다고 알려져 있으며(Shim et al., 1995), 본 연구에서는 하계에 Prorocentrum속의 출현량이 많 았으며 전반적으로 와편모조류의 출현량과 종수가 다양해 지는 경향을 보였다.
우점종 분포는 2월의 경우 강원 북부연안은 Pseudo-nitzschia delicatissima, 강원 남부연안은 Eutreptiella gymnastica로 나타났 으며, 경북의 북부와 남부 연안은 각각 Lauderia annulata와 Chaetoceros pseudocurvisetus가 우점하였다. 5월에는 경북 후포 연안을 기준으로 이북해역은 Chaetoceros affinis와 Chaetoceros didymus, 이남해역은 Leptocylindrus danicus가 극우점하였다. 8월 에는 수온 상승으로 강원 북부해역에서 편모조류인 Prorocentrum micans와 Prorocentrum triestinum이 우점 출현하였으며, 강 원 동해에서 경북 울진연안에서는 Leptocylindrus danicus와 Chaetoceros affinis, 경북 후포 이남연안에서는 Chaetoceros affinis와 Pseudo-nitzschia pungens가 출현율이 높았다. 5월과 8 월에 우점 출현한 Chaetoceros affinis는 Chaetoceros lorenzianus 등과 함께 동해 남부해역의 하계에 주로 출현하는 대마난류 지표종이다(Park et al., 1991; Karawada, 1965; Matoda and Marymo, 1963). 11월에는 E1(거진)에서 E12(후포) 연안에 Cryptomonas sp.의 출현율이 높았으나 축산 이남해역에는 뚜렷한 우점종 이 출현하지 않았으며 현존량 또한 10 cells/L 이하로 매우 낮 았다.
3.3.식물플랑크톤의 종조성
조사기간 중 동해안에서 출현한 식물플랑크톤의 종수는 총 64 종으로 Fig.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크게 규조강(Bacillariophyceae), 와편모조강(Dinophyceae), 유글레나조강(Euglenophyceae), 규질 편모조강(Dictyophyceae) 및 은편모조강(Cryptophyceae) 총 5개 분류군이 출현하였으며, 계절별 출현종수는 2월에 22종, 5월 에 33종, 8월에 33종, 11월에 36종이 출현하여 11월에 출현종 이 가장 많았고, 2월에 출현종이 가장 적었다(Fig. 4). 조사기 간 중 동해안에 출현한 식물플랑크톤의 종수는 총 38속 64 종이었으며, 분류군별로는 규조강이 총 37종 출현하여 전체 출현종수에서 57.8 %를 차지하였으며, 그 다음으로 와편모류 가 22종 출현하여 전체 출현종수에서 34.4 %를 차지하였다. 그 외 유글레나조류 1종, 규질편모조류 3종, 은편모조류 1종 출현하였다.
동해 해역에 출현한 식물플랑크톤에 대한 보고에 따르면 1980년대 초에는 185종으로 보고되었으며 당시 124종의 규 조강, 56종의 와편모조강이 출현하였고(Shim and Lee, 1983), 1980년대 후반 조사에서는 190종이 출현하였다(Shim et al., 1995).
주요 분류군인 규조강과 와편모조강의 출현종으로 비교 하였을 때 출현종수는 과거 출현종수에 비해 약 1/3 정도에 불과하였다. 이러한 출현종수의 큰 차이는 과거 조사에서 채수 채집과 넷트 채집을 동시에 수행한 반면 본 연구에서 는 채수 채집 방법만으로 조사한 결과로서 채집 방법 상의 차이에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동정된 식물플랑크톤 중 가장 많은 종이 출현한 분류군은 규 조강인 Chaetoceros속으로 총 7종이 출현하였으며, Rhizosolenia 속, 와편모강인 Prorocentrum속 및 Protoperidinium속도 각각 4 종, 4종, 5종씩 출현하였다. 과거 동해안의 주요 출현 종과비교하였을 때 규조강의 종조성은 Chaetoceros속이 가장 많 은 출현 종수를 보인 것과는 비슷한 경향이었으나, 실제 출 현종수에 있어서는 과거 50여종에 비하면 본 연구에서 매우 단순한 종조성을 보였다. 와편모조류의 주요 출현 속은 과 거 Gymnodinium과 Ceratium이었으나(Shim and Lee, 1983; Shim et al., 1985), 본 연구에서는 Prorocentrum속과 Protoperidinium 속으로 주요 종에 있어서 차이를 보였다.
조사기간 중 동해안에 출현한 식물플랑크톤의 출현밀도 별 순위를 Fig. 5에 나타내었다.
5월에 극우점하면서 높은 출현밀도를 나타낸 Leptocylindrus danicus가 연중 870×103 cells/L로 점유율이 가장 높았고, 11월에 우점한 Cryptomonas sp.가 244×103 cells/L, Chaetoceros affinis가 147×103 cells/L로 뒤를 이었다. 그 외 높은 순위로는 Pseudonitzschia pungens, Thalassionema nitzschioides 등으로 나타났다. 동해 연안에서 주로 우점하여 출현하는 종은 Skeletonema costatum, Asterionella graciales 및 Leptocylindrus danicus 등 다 소 작은 크기의 종이 높은 개체수 분포를 보인다고 알려져 있으며(Lee et al., 1998), 본 연구에서도 연중 가장 높은 점유 율을 보인 종은 Leptocylindrus danicus로 나타났다.
3.4.식물플랑크톤과 수질환경과의 상관관계
동해연안 식물플랑크톤 현존량과 수질환경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Table 4). 수온은 염분, DO, DIN 및 SiO2-Si와 모 두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이중 염분과의 상관관계(r=0.89, p‹0.05)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염분은 DO(r=0.57, p‹0.01), DIN(r=0.41, p‹0.01), SiO2-Si(r=0.49, p<0.01) 및 투명 도(r=0.24, p‹0.05)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인 반면 클로로필과(r=0.25, p‹0.05)는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동해 남부해역의 식물플랑크톤 현존량은 다른 환경 요인보다는 해양물리학적 인 특성과 관계가 크다고 Lee and Shim(1990)이 보고하였나, 본 연구 결과에서 나타난 수온과 염분은 식물플랑크톤 현존 량과 상관이 낮게 나타났다. 생태계 내에서 식물플랑크톤의 군집구조에 영향을 주는 물리·화학, 생물학적인 환경요인은 다양하기 때문에 어느 특정 요인과 정량화하기는 어렵지만 본 연구에서 식물플랑크톤은 pH(r=0.24, p‹0.05), DO(r=0.26, p‹0.05), 부유물질(r=0.25, p‹0.05) 및 클로로필-a(r=0.25, p‹0.05)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특히 식물플랑크톤의 현 존량, DO, pH와의 관계는 식물플랑크톤의 증식으로 이산화탄소가 소비되면서 pH가 높아지거나 광합성의 결과 산소가 발생하는 것과 상관성이 크다(David, 1995; Jung et al., 2012). 영양염과 식물플랑크톤의 현존량과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 구 중 Lee et al.(1998)의 보고에 따르면 입자태유기질소가 최 대일 때 식물플랑크톤 현존량이 높았다고 알려져 있다.
Kang and Choi(2002)의 원전 주변해역 식물플랑크톤에 대 한 연구 결과, 울진 해역에서는 여름철 인산염과 높은 역상 관 관계를 보였고, 고리 해역에서는 여름철 질산염이 소형 플랑크톤과 역상관 관계를 보였다. 그러나 본 연구결과에서 는 영양염 중에서는 SiO2-Si(r=0.43, p<0.01)와 식물플랑크톤 현존량이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는 식물플랑크톤의 증 식에 따른 SiO2-Si의 소모로 인한 것으로 보이며, 식물플랑크 톤의 성장제한요소로 질산염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는 결과 와는 다소 다른 결과를 보였다.
3.5.수괴 특성에 따른 식물플랑크톤 우점종 변동
계절별 수온과 염분에 따른 수괴 특성과 식물플랑크톤 우 점종 변동을 살펴보았다. 수괴 특성은 Jeong et al.(2013)이 제 시한 수괴 분포(Table 5)를 참고하여 정점별 식물플랑크톤 우점종을 T-S도에서 분석한 결과, 우점종 분포는 수온과 염 분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Fig. 6).
수괴특성에 따른 식물플랑크톤의 군집특성을 보면, 2월의 경우 E1(거진)은 밀도(σt) 26.86σt(수온 6.07°C, 염분 34.06)로서 Jeong et al.(2013)이 제시한 북한한류 수괴의 특성에 해당되고, 그 외 정점은 25.87-26.40σt(수온 9.12-12.94°C, 염분 33.93-34.35) 로서 대마난류 중층수의 식물플랑크톤 분포특성을 보였다. 이때 식물플랑크톤 우점종은 수온 10°C전후인 E07(동해) 정점 기준으로 Pseudo-nitzschia dellicatissima에서 Eutreptiella gymnastica로 우점종이 바뀌었다(Table 3). 5월은 24.82-25.91σt (수온 11.38-17.08°C, 염분 33.84-34.12)의 밀도분포 범위로 식물플랑크톤은 대마난류중층수의 수괴 특성을 나타내었다. 특히 수온 15 전후인 E12(후포) 정점 이북에서 우점종은 Chaetoceros affinis와 Chaetoceros didymus였으나, E12(후포) 정점 이남에서는 우점종이 Leptocylindrus danicus로 바뀌면서 현존량 또한 증가하였다. 8월의 식물플랑크톤 군집 특성은 20.24-22.38σt(수온 21.89-25.25°C, 염분 30.54-32.80)의 대마난류표 층수의 특성을 보였고, 이때 우점한 식물플랑크톤은 Prorocentrum micans와 Chaetoceros affinis, Chaetoceros lorenzianus 등 대 마난류 지표종이었다(Park et al., 1991; Karawada, 1965).
밀도 21-23σt에서는 Prorocentrum micans와 Prorocentrum triestinum이, 20-21σt 범위에서는 Chaetoceros affinis가 공통적으 로 분포하였고, 그 외 Leptocylindrus danicus와 Pseudo-nitzschia pungens가 지역별로 다르게 출현하였다. 8월은 염분 분포가 연안별 차이를 보여 염분 32를 기준으로 그 이상인 E06(강릉 옥계) 이북연안은 Prorocentrum이었고, 32 이하인 E07(동해) 이남부터 규조류로 우점종이 바뀌었다. 11월은 대마난류의 영향이 서서히 줄어들면서 북한한류와 대마난류 중층수의 경계역에 분포하고 있으며, 5월과 8월에 비해 수온과 염분에 따른 우점종 변동이 뚜렷하지 않았다. 계절별로 염분에 의 한 식물플랑크톤 우점종 변동은 8월에 가장 뚜렷하게 나타 났다. Shim and Lee(1987)는 식물플랑크톤과 환경요인의 상관 관계를 정준상관분석(Canonical Analysis)으로 분석한 결과 7 가지 환경요인 중 수온과 염분이 가장 영향을 많이 미치는 요인으로 보고하였다. 또한 Lee and Shim(1990)의 연구 결과 에 따르면 동해남부해역의 식물플랑크톤의 현존량 분포는 T-S도상에서 계절적으로 순환하며, 봄과 가을에 각각 수온 과 염분의 영향을 받는다고 하였다. 본 연구결과에서도 식 물플랑크톤 군집은 5월에는 수온의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 로 나타났으나, 염분의 영향은 하계인 8월에 뚜렷하게 받은 것으로 나타나 Lee and Shim(1990)의 연구와 다른 결과를 보 였다.
조사기간 중 동해 연안에 출현한 식물플랑크톤 현존량과 종조성을 바탕으로 정점별 유사도를 분석하기 위하여 다원 척도분석을 실시한 결과, 조사월에 따른 차이는 있으나 주 로 경북 죽변과 울진을 기점으로 강원 연안 그룹(Group A)과 경북 연안 그룹(Group B)으로 나뉘어졌다(Fig. 7).
본 연구결과는 2009년을 대상으로 분석하였지만 Kim et al.(2014b)이 동해연안에서 43년(1971-2013) 동안 연안정지 관 측소에서 조사한 표면수온으로 지역별 유사도를 분석한 결 과와 잘 일치하였다. 이것은 동해연안의 지역에 따른 식물 플랑크톤 현존량과 종조성은 수온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4.결 론
본 연구는 강원 거진에서 경북 감포까지 동해 주요연안 18 개 정점)에 대해 2009년 2월부터 11월까지 연 4회(2, 5, 8, 11 월) 식물플랑크톤의 우점종 변동 특성을 분석하였다. 식물플 랑크톤은 규조강(Bacillariophyceae), 와편모조강(Dinophyceae), 유글레나조강(Euglenophyceae), 규질편모조강(Dictyophyceae) 및 은편모조강(Cryptophyceae) 총 5개 분류군이 출현하였으며, 연중 가장 높은 점유율을 보인 종은 Leptocylindrus danicus로 나타났다. 현존량은 1.2×103- 246.6×103 cells/L(평균 24.8×103 cells/L) 분포로 정점별, 월별 개체수의 지역별 분포 차이가 매우 크게 나타났으며 강원연안에 비해서 경북연안에서 다소 높았다.
해양환경과 요인과의 식물플랑크톤 현존량과의 상관관계 는 pH, DO, 부유물질 및 Chl-a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인 반면 SiO2-Si와는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계절에 따른 식물플랑 크톤 우점종을 등밀도선상의 T-S도에서 분석하였을 때, 우 점종 분포는 수온과 염분의 영향을 다소 받는 것으로 나타 났으며, 특히 5월은 수온, 8월은 염분에 따른 우점종 변화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식물플랑크톤 현존량과 종조성을 바탕 으로 다원척도분석을 실시한 결과 조사월에 따른 차이는 다 소 있으나 주로 경북 죽변과 울진을 기점으로 강원 연안 그 룹과 경북 연안 그룹으로 나뉘어졌으며, 이러한 결과는 표 면수온의 지역별 유사도를 분석한 결과와 잘 일치하였다. 따라서 동해연안의 지역에 따른 식물플랑크톤 군집 변동은 여러 가지 환경요인 중 수온과 염분의 분포와 밀접한 관계 를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에서의 연 단위 식물플랑크톤 군집 변동 특성이 동해안의 수온 상승과 장기간의 식물플랑크톤 군집 변동과 의 관계를 보다 면밀하게 분석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으로 본다.